윤여준 전 국민의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이 “국민의당이 일단 성공을 했다”면서도 “앞으로가 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실적으로는 제1야당라고 하기 어렵고 다만 자기들은 상징성을 주장하는 것”이라며 “거기에 선뜻 동의하는 국민이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다”며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윤 전 위원장은 18일 CBS라디오에 나와 “의석수로만 보면 (국민의당이) 일단은 성공한 것”이라며 “안철수 공동대표가 그 끈질긴 야권 통합의 압박을 이겨내고 제3당을 만든 것은 표심이 정말 효과를 거둔 것이고 또 논리적으로 그 입장이 맞다”고 했다. “소신에다가 몸을 던지는 모습을 보이는 건 전 높이 평가를 한다”고도 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에서 스스로 제1야당이라고 주장하는데 대해서는 “전체 의석 수가 더민주의 4분의 1 정도 넘는 거 아닌가”라며 “의석이 호남에 완전히 편중돼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안 대표에게 ‘새정치’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전 위원장은 “(안 대표가) 뚝심은 생겼지만 그게 새정치 알맹이하고는 관계는 없다”며 “이제는 국민 앞에 제가 말하는 새정치라는 건 이런 겁니다 하는 거를 체계적으로 구체적으로 밝혀야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래서 국민의 동의를 얻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어디서 힘이 생기겠느냐 그게 제일 급선무고 핵심 과제다. 그걸 못하면 대선 어렵다”고 강조했다.
대선 전 야권 후보 단일화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내놨다. 그는 “지금까지 단일화했지만 많이 실패했지 않느냐”며 당장 지난 대선도 단일화했는데 실패했다. 유권자 의식을 믿고 민심을 믿고 천심을 믿고 저절로 합쳐지게 되면 몰라도 이거 인위적으로 연대하고 통합하려고 하면 국민이 안 좋아한다“고 지적했다.
총선 결과에 대해서는 “(이번 총선 결과는) 박근혜 대통령의 비민주적 리더십에 대한 심판”이라며 “집권 3년 동안 시종일관 보여준 것이 군림하되 통치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고 평가했다. “(청와대의 총선 결과에 대한 평가도) 너무 늦었고 국정의 최고책임자로서 마땅히 선거 직후에, 총선 결과가 나온 직후에 국민에게 사과하고 앞으로 바꾸겠다는 약속을 하고 이런 걸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윤 전 위원장은 “(창당 이후 국민의당에서 빠진 것에 대해) 후회 없다. 왜냐면 저는 원래 현실 정치에 깊숙이 참여하고 싶은 생각이 원래 처음서부터 없던 사람이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윤여준, "국민의당 앞으로가 더 어려울 것"
입력 2016-04-18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