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년 만에 ‘대구 야당 국회의원’ 진기록을 세운 김부겸 당선인은 18일 오전 국회에서 홀로 국민일보 취재진을 맞았다. “수행이 뭐가 필요합니까, 이래야 몸도 가볍고 말도 편히 하지요.” 발언에서 자신감이 묻어났다.
특히 야당의 정치문화에 대해 “이제 내가 총대를 멜 테니 중진들이 (원내에서) 발언을 하라”며 강한 개혁 의지를 내비쳤다. 당 대표나 원내대표 경선 참여 가능성도 “내가 (의원들에게) 표를 달라고 하면 할 말을 할 수 있겠느냐”며 부인했다.
차기 당 대표에 대해선 “지금 우리 당이 당 대표 경선을 통해 활력이 살아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지 않느냐”며 합의추대 쪽에 무게를 실었다. 대권은? “대구 시민들이 저의 다음 행보를 지켜볼 것”이라며 말을 줄였다.
-‘기적’을 만들어준 대구 민심은 무엇인가.
“두 번 떨어져도 다시 도전하는 김부겸이라는 사람을 쭉 지켜봐 준 것 같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심판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 이르다.”
-강경파 주도 야당 정치문화를 바꾸겠다고 했다.
“과거 의원총회는 토론이 아닌 선동의 장이었다. 강경파도 이제 자기 의견을 갖고 토론하고, 주장할 때도 근거를 대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당을 나가 진보정당을 할 배짱은 없으면서 왜 혼자 진보라는 가치를 독점하고 싶어 하는가. 강경파 주장대로 해서 대안이 나온 것도 없다. 가장 억울한 것이 국가보안법을 ‘민주질서보안법’으로 대체키로 한 역사적 합의가 결국 없던 일이 된 것이다. 그때 무산시킨 강경파들은 지금 다 어디 있느냐. 세월호특별법 협상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반대하는 사람에겐 ‘당신들의 해법은 무엇이냐’고 물어야 한다.”
-토론이 내분으로 비쳐질 수도 있다.
“강경파는 면허증이라도 있나. 국민을 대리해야지 자기 철학만 고집하면 안 된다. 토론 없는 풍토에 일방적으로 끌려가면서 분당의 상처만 남지 않았나. 내가 총대를 멜 테니 중진들도 이제 발언해야 한다. 다른 의원들과 척지기 싫어하면 당은 망한다. 필요하다면 의총에서 표결도 요구할 것이다.”
-호남 민심을 어떻게 수습해야 하나.
“누구든 진정성 있는 모습으로 호남에 가서 ‘우리가 정말 밑바닥부터 다시 시작하겠다’고 해야 한다.”
-당내에선 내년 대선에 호남이 ‘전략적 투표’를 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런 인식 자체가 얼마나 천박한가. 그 분들이 우리가 무슨 사고를 쳐도 항상 감싸주고 어려운 것을 다 해결해주는 보호자인가. 정치집단으로서 기본 예의가 아니다.”
-문재인 전 대표의 ‘광주 선언’은 어떻게 매듭을 지어야 하나.
“지금은 문 전 대표 발언에 대한 타당성 논쟁에 빠지면 안 된다. 정치 지도자에게 발언을 수습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하지 않겠나. 조금 신중했어야 했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은 있다.”
-새 지도부는 어떻게 뽑아야 하나.
“지금 우리 당이 당 대표 경선을 통해 활력이 살아날 그런 분위기는 아니지 않는가. 많은 사람들은 야권이 근본적으로 재구성되는 길을 찾느냐에 관심이 있다. 물론 차세대 지도자가 성장하고 커 나올 수 있는 계기인 것은 맞다. (하지만) 여기서 또 어느 계파가 누구를 밀고 하면 끝이다.”
-당권에 도전하나
“내가 (특정) 포지션을 가지면 이런 자유로운 발언권이 없어진다.”
-내년 대선에서 야권통합을 주장했다.
“지금 당장 통합하자는 것이 아니다. 국민들이 (총선에서) 입법권을 주도할 수 있는 권한을 야권에 줬다. 양당이 신뢰수준을 높여가는 게 먼저다.”
-대권주자 간 공정 경쟁이 가능할까.
“가장 답답한 것은 김종인 대표를 모시고 올 정도의 파격적 결정을 할 수 있었다면 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놓쳤느냐는 것이다. 진정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 공동체의 미래지, 두 사람의 개인적 입지는 아니다. 치열하게 토론하고 결론에 승복하는 성숙한 모습을 자꾸 쌓아가면 공정 경쟁 틀이 만들어 질 것이다.”
-내년 대선에 도전하나.
“대구 시민들의 기대는 야당 의원을 통한 대구 사회의 긴장과 경쟁 변화에 대한 징표다. 그런 것 없이 대권 운운하면 뿌리 없는 정치인이 된다. 환갑인데, 실험하듯 정치할 수 없다.”
-대구 시민들이 대선 출마를 원한다면?
“지금은 그런 가정하지 말자. 야당과 야당 인물에 아직 그 정도로 마음을 연 것은 아니라고 본다. 대구 시민들은 저의 다음 행보를 계속 지켜볼 것이다.”
최승욱 문동성 기자 applesu@kmib.co.kr
[인터뷰]TK에 제1야당 깃발 꽂은 김부겸 “차기 대권은...”
입력 2016-04-18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