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가 무소속 당선인 일괄 복당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인위적인 국면 전환은 역풍을 맞는다는 ‘신중론’을 폈지만 내심은 ‘유승민 비토론’이라는 게 당내 평가다.
새누리당은 총선 참패 직후인 지난 14일 밤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무소속 복당의 문호를 대개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박근혜정부의 성공적 마무리와 차기 정권 재창출에 동의하는’이란 단서를 달았지만 형식적인 문구였다. 선거 전 ‘복당 불가’를 외쳤던 친박도 이를 묵인했다. 그런데 주말 새 급하게 서두를 문제가 아니라고 기류가 바뀌었다.
친박 중진 의원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 문제는 새로 선출될 지도부가 결정할 문제”라며 “현재 비상대책위원회는 선거 수습을 위한 임시 기구일 뿐 새로운 결정을 할 권한이 없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선거가 끝나자마자 복당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 국민들에게는 ‘어떻게든 원내 제1당 자리만 차지하려고 꼼수를 부리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며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까지는 시간이 있으니 일괄 복당이든 선별 복당이든 신중하게 논의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유 의원 복당에 대해선 부정적인 기류가 강했다.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복당을 허용할 경우 “그렇게 가면 새누리당은 또다시 ‘이념 잡탕당’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당의 정체성과 안 맞는다고 내쫓은 사람을 다시 받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유 의원을 제외한 선별 복당이 친박 입장에선 최선의 시나리오지만 명분이 없다는 점이 고민이다.
이렇듯 친박은 복당 문제를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이 특정인을 컷오프시켰을 땐 당 정체성 위반이든 국회의원으로서 품위 손상이든 이유가 있었다. 그런데 당선되자마자 이들을 다시 받아들이는 건 해당 공천이 근거 없는 사천이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박근혜정부의 임기 후반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서 원내 한 석이 귀하지만 유 의원이 당내에서 사사건건 문제 제기를 하면 오히려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친박이 시간 끌기에 나선 건 차기 지도부 구성과도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다음달 초로 예정된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계 의원이 당선되면 비대위원장 권한을 이양 받아 복당 원칙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친박은 총선 참패 원인이 공천 문제였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김무성 대표의 책임론을 여전히 제기했다. 한 중진 의원은 “아무 컬러가 없는 공천에다가 살생부 논란, 옥새 파동이 이어지면서 민심이 급격하게 이반됐다”고 주장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무소속 일괄복당'에 제동 건 친박 "급할 것 없다"
입력 2016-04-17 1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