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호헌 지지 요구 레이건에 퇴짜맞다”

입력 2016-04-17 14:58

1985년 당시 전두환 정권이 미국의 레이건 행정부에 '호헌'(護憲, 5공 헌법 수호) 공개 지지 표명을 요구했다 거절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개된 외교문서에 따르면 전두환 정권은 1985년 4월 24∼29일 방미를 앞두고 한·미 정상회담 후 언론 발표 과정에서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의 호헌에 대한 공개 지지 표명을 해줄 것을 미국 측에 요청했다.

들어간 우리 정부는 레이건 대통령이 발표할 문안에 전 대통령의 '헌정수호 결의'를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을 요구했다.

전 전 대통령은 4월 12일 주한 미국대사와의 오찬에서 직접 '헌법 수호를 통한 평화와 안정을 위한 노력에 대해 레이건 대통령이 확고하게 지지하는 성명을 해 주기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4월 25일 저녁 미국 현지에서 열린 한미 외무장관 회동에서도 줄다리기는 계속됐다.

이원경 당시 외무장관은 전 전 대통령이 헌정질서 유지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며 거듭 지지를 요구했다. 그러나 배석한 폴 월포위츠 국무부 당시 동아태 차관보는 "한국 내에서 헌법 개정 문제가 정치 문제화돼 있는 것으로 아는데, 미국이 이 문제를 언급하면 한국의 국내 정치에 간섭한다는 인상을 줄 우려가 있다"고 맞섰다.

결국, 최종 발표문은 레이건 전 대통령이 헌법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한국의 정치 발전을 위한 제반 조치를 지지하고, "전 대통령이 임기 말에 하겠다는 평화적 정권교체 공약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재차 강조"하는 선에서 타결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