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극단의 ‘변강쇠 점 찍고 옹녀’가 프랑스 파리 관객들을 매혹시켰다.
지난 14일(현지시간) 파리 테아트르 드라빌(파리 시립극장)에서 선보인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프랑스 제목은 ‘마담 옹’)에 대한 현지 관객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외설적인 이야기로 알려졌전 고전 ‘변강쇠’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 작품이 공연되는 내내 관객들은 계속 웃음을 터뜨렸다.
한국 연극계의 총아인 고선웅이 각색과 연출을, 창작국악그룹 푸리의 소리꾼 한승석이 작창을 맡은 이 작품은 2014년 국립극장 초연 당시부터 국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끈 바 있다. 원작의 해학성은 유지하면서도 색정의 화신이었던 변강쇠와 옹녀를 생명력 넘치는 민초의 상징으로 풀어냈기 때문이다. 특히 변강쇠 대신 주인공으로 전면에 나선 옹녀가 장승동티(장승을 잘못 건드린 벌로 받은 재앙)로 죽은 남편을 위해 복수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여성상으로 그려진 것이 관객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날 공연이 끝나자 프랑스 관객들은 열정적인 박수로 작품에 찬사를 보냈다. 일부 관객들은 기립박수와 함께 “브라보”를 외치기도 했다. 덕분에 국립창극단 단원들은 여러 차례 무대로 다시 나와 인사를 해야 했다.
연출가 고선웅은 “첫 공연을 마친 게 마치 깜깜한 터널을 빠져나온 것 같은 느낌이다. 이번 공연을 앞두고 실패에 대한 불안과 부담을 넘어 공포감마저 들었는데, 관객들의 열렬한 반응을 보고 그제서야 마음이 놓였다”면서 “한국어로 된 전통적 음악극인 창극이 세계에서도 보편적으로 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기뻤다”고 소감을 밝혔다.
객석 1000석의 테아트르 드라빌은 파리시가 지원하는 5개 공공극장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프랑스는 물론 세계 각국에서 초청한 다양한 장르의 완성도 있는 공연을 선보이는 ‘현대 공연예술의 최전선’으로써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을뿐만 아니라 공연 관계자들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프랑스 연극계의 총아인 연출가 엠마뉴엘 드마르씨-모타가 2008년부터 극장장을 맡고 있다.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맞아 드마르씨-모타 극장장은 이번 시즌에 ‘변강쇠 점 찍고 옹녀’ 외에 안은미의 ‘땐스’ 3부작 등 10편 가까운 한국 작품을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관객에게 소개하고 있다.
드마르씨-모타 극장장은 “프랑스에서 한국의 이미지는 고층 빌딩, IT기술로 대표되는 경제발전과 K팝과 영화 등 대중문화에 국한돼 있었다. 하지만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프랑스 관객들이 한국의 다양한 이미지를 실감하게 된 것 같다”면서 “이 작품을 처음 접했을 때 음악과 이야기의 힘에 놀랐다. 동양의 전통적인 공연 가운데 섹슈얼리티와 코미디를 한 무대에서 동시에 보여주는 작품은 본 적이 없다”고 평가했다. 이어 “테아트르 드라빌이 한국의 창극을 유럽에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한국 창극으로 유럽에서 공연되는 것은 세 번째지만 현지 극장의 초청으로 정식 시즌 프로그램에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우루왕’ ‘수궁가’ 등 2편은 모두 국립극장이 해외 공연장을 직접 대관해 공연한 것인데 비해 이번엔 약 1억원 정도의 개런티(항공료 제외)를 받았다. 티켓 가격은 35유로와 30유로의 2가지 외에 14세 이하와 15~30세 이하는 할인이 적용돼 각각 18유로, 26유로도 책정돼 있다. 개막 전에 14~17일 4일간 4회 공연 가운데 첫 회는 이미 매진됐고, 나머지 3회도 80% 이상 팔린 상태였다.
안호상 국립극장장은 “‘변강쇠 점 찍고 옹녀’가 세계적인 명성의 테아트르 드라빌 무대에 시즌 프로그램으로 오른 것은 정말 역사적인 순간이다. 이 작품에 대한 파리 관객들의 반응을 보면서 국립극장과 국립창극단이 추진해온 전통의 현대화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김성녀 국립창극단 예술감독도 “일본의 가부키와 노, 중국의 경극은 이미 유럽에 많이 알려진데 비해 한국의 창극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 소개되는 것이다. 이번 공연의 성공을 통해 프랑스는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창극을 본격적으로 부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국립창극단 '변강쇠 점 찍고 옹녀', 프랑스 관객을 매혹시키다
입력 2016-04-17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