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집권여당의 총선 참패 이후 남은 임기 국정 수습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해선 먼저 현 상황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각 및 청와대 개편 등 인사는 미봉책에 불과한 만큼 통치 스타일의 근본적인 변화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 역시 많다.
이번 총선 결과는 박근혜정부와 집권여당을 향한 국민의 심판이다. 박 대통령이 수개월 간 ‘심판’의 목소리를 높여왔지만 국민은 정부·여당에 싸늘한 시선만 보여줬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무엇보다 먼저 이런 뜻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반성과 사과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선거결과에 그대로 드러난 민심을 수용하고 그 토대 위에서 정책과 정치철학을 새롭게 다듬어야 한다는 요구는 여당 내에서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15일 “선거 결과가 정부와 여당에 대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라는 데는 아무도 이의를 달 수 없을 것”이라며 “다시 시작하려면 먼저 철저한 자기반성이 필요한 시점이고 박 대통령과 청와대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노동개혁·경제활성화법안 등의 국회 통과를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하면서 정치권, 특히 야당을 계속 압박했다. 강도 높은 경고와 날선 비판도 서슴지 않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박 대통령의 이런 메시지는 국민에게 오히려 ‘남 탓’으로 인식됐다는 평가가 많다. 적극적인 소통과 설득 노력도 없이 원칙론만 앞세워 준엄하게 꾸짖는 듯한 일방주의적 스타일이 결국 반감만 샀다는 얘기다. 한 정치권 인사는 “국정의 책임을 지는 대통령은 이번 선거 결과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누구보다 잘 아실 것”이라며 “앞으로 모든 것을 ‘내 탓’으로 여기고 무한책임을 진다는 각오 없이는 국정과제를 힘있게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남은 임기동안 펼쳐질 여소야대 및 3당 체제에선 특히 야권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설득의 정치가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취임 이후 3년 간 이른바 ‘신뢰와 원칙’의 정치철학을 앞세워 집권여당엔 강력한 뒷받침, 야당엔 비판 없는 협조를 요구해왔다면 이제부턴 ‘설득의 리더십’을 보여주면서 변모해야 한다는 의미다. 정치권에서 나오는 박 대통령의 인적쇄신 카드는 일시적 효과는 있겠지만, 정국 수습의 근본적 해법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차원에서 박 대통령이 오는 18일 주재하는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총선 이후 처음으로 박 대통령이 국정에 관한 언급을 하는 만큼 ‘국민의 뜻’을 수용해 어떤 식으로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할지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총선 다음날인 14일엔 공식일정을 갖지 않았고, 15일엔 한·노르웨이 정상회담을 했지만 별다른 선거 관련 언급은 없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대해 신중하고 정제된 말씀을 하실 것으로 안다”며 “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최우선 국정과제는 변함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대통령, 반성 먼저 필요... 통치스타일도 '설득형'으로 변모해야
입력 2016-04-15 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