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미래의 주축인 청년층 위한 정책 겉돌아.

입력 2016-04-14 19:16 수정 2016-04-18 13:42
민선6기 이후 광주시의 청년정책이 겉돌고 있다. 4·13총선을 계기로 미래를 이끌 청년층의 정치·사회분야 참여 폭을 넓혀주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됐지만 ‘쇠귀에 경 읽기’에 그치고 있다.

광주시는 14일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고민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윤장현 시장이 직접 청년들과 만나 상담하는 ‘청년과의 대화’, 33명의 청년선도자들이 청년정책을 제안하는 ‘청년위원회’ 등을 운영하고 있다.

시는 청년들에게 꿈을 심어주기 위한 이 같은 제도를 통해 활발한 소통과 함께 실질적 도움을 주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 청년정책은 취업난 해소에만 편중돼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청년과의 대화 등은 청년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토론하기보다는 형식적 행사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시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입주한 한전 등 공기업을 겨냥한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대표적 청년정책으로 꼽고 있지만 이마저도 성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청년정책을 전담하는 공무원 조직도 제대로 편성돼 있지 않다. 컨트롤 타워가 없어 산발적으로 추진되기 일쑤다. 현재 시 담당부서인 여성청소년가족정책관실의 ‘청소년육성’과 ‘청소년친화도시’ 업무에 배치된 공무원은 10명도 되지 않는다. 민선 6기 직후 ‘과’ 체제로 승격됐던 청년인재육성과는 다시 ‘계’로 축소돼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의 주축인 청년들을 위한 체계적 정책을 수립하려면 전담부서를 확대하고 청년들의 일자리뿐 아니라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소통창구를 가동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시는 연말까지 청년정책 논의를 활성화하고 주요 청년의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청년정책 공감단’ 300명을 모집해 운영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 인 광주시 행정부시장은 “청년문제는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핵심현안”이라며 “청년정책의 전반적 기조와 조직을 손질해 내실화된 ‘광주형 청년종합정책’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