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지도 체제는 어떻게...안철수 사람들 대거 입성

입력 2016-04-14 15:55

4·13 총선에서 기대 이상의 호성적을 낸 국민의당은 안철수 공동대표의 친정체제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안철수계 인사들이 대거 국회에 입성하면서 새롭게 구성될 지도부에도 다수 포진할 가능성이 높다.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 안 대표가 대권을 쥐되 호남 세력이 당권을 잡는 구상도 거론된다.

국민의당은 오는 7월 전당대회에서 처음으로 당 대표를 선출한다. 현재로서는 대선 출마를 구상 중인 안 대표가 직접 당 대표직에 오르기는 어렵다. 당헌 94조 3항에 대통령 후보직 경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대선 1년 전에 당 대표 등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한다고 돼 있어서다.

자연스레 천정배 공동대표와 정동영 당선인, 박지원 의원 등 호남 유력 정치인의 당 대표 도전 가능성이 거론된다. 호남 정치인을 당 대표로, 안철수계 인사는 최고위원으로 둘 경우 대권과 당권이 자연스럽게 분리돼 당내 갈등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평가다.

다만 김한길 의원은 ‘개국 공신’ 몫을 챙기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야권통합 없이 총선승리 없다”며 안 대표에게 날을 세웠지만 결과는 그의 전망과는 딴판이었다. 국민의당이 유권자의 교차투표로 큰 성과를 내면서 몽땅 체면을 구겼다. 또 불출마 선언으로 국회의원직에서 내려왔기 때문에 20대 국회에서의 영향력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당헌을 개정하고 안 대표가 한시적으로 당 대표를 맡는 방안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14일 “대선 출마를 위해선 대선 1년 전 당 대표를 사퇴해야 한다는 당헌이 있지만 이제 막 출발한 작은 당이 큰 당을 다 따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당헌 개정 가능성도 내비쳤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