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의 무소속 당선자는 11명이다. 이중 새누리당 탈당파는 강길부 유승민 주호영 안상수 윤상현 의원과 이철규 장제원 당선인 등 7명이다. 원내 제1당 자리를 내준 새누리당으로선 한 석이 아쉬운 처지다.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에서 여당 몫을 최대한 챙기기 위해서라도 이들의 복당이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인천 중·동·강화·옹진에서 당선된 무소속 안 의원은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건 없이 새누리당에 복당 하겠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여유를 갖고 앞으로의 진로를 생각하려 했으나 현재 상황이 너무나 엄중하고 새누리당이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에 좌고우면하지 않고 바로 복당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의석 하나가 얼마나 중요한데 당에서 받아줘야 한다”며 “정치인 일부 생각이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친박(친박근혜)계를 직접 겨냥했다. 유 의원도 대구 불로시장에서 당선인사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제가 복당한다고 말씀 드렸으니까 한다”며 “오늘 아침 당장 하는 건 당이 저렇게 힘든 상황에서 도리가 아닌 것 같아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친박은 공천에서 배제돼 탈당한 비박(비박근혜)계 인사들의 복당을 반대해왔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지난달 한 방송에 출연해 “분명히 말하지만 무소속으로 출마한 분들이 당에 돌아오는 건 어렵다”고 했었다. 이런 입장을 선거가 끝나자마자 바꾸는 건 공천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어서 고민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다고 이들을 내치자니 박근혜정부 집권 후반기가 암담하다. 김무성 대표를 향한 막말·욕설로 공천에서 배제된 친박 윤 의원의 복당 문제도 얽혀 있다. 대구 수성을의 주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은 복당 문제를 결정할 지도부도 없는 상황”이라며 “시간을 갖고 좀 더 지켜보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급할 것 없다는 분위기다. 김종인 대표는 대국민 기자회견에서 탈당한 이해찬 의원과 홍의락 당선인의 복당 여부에 대해 “홍 의원은 선거 때 본인 스스로 (복당하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얘기할 필요가 없고 이 의원은 추후에 결정할 사항”이라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유승민 주호영 등 무소속 복당 문제는
입력 2016-04-14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