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을 눈앞에 둔 박근혜 대통령이 과연 국민을 향해 어떤 메시지를 던질지 주목된다. 노동개혁·경제활성화 법안을 처리하지 않는 국회를 겨냥해 그동안 강도 높은 비판을 해왔던 박 대통령으로선 20대 총선에선 어떤 식으로든 관련된 발언을 할 것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특히 야당을 겨냥해 이른바 ‘심판론’을 다시 한번 언급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박 대통령은 박근혜정부의 핵심국정과제인 4대 구조개혁이 국회에 가로막혀 제대로 된 성과를 못하고 있다는 인식을 해왔다. 특히 정치권이 정쟁과 당리당략에 휘말려 경제와 민생을 외면하면서도 말로만 국민을 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20대 국회가 ‘국민과 민생을 위한 민의의 전당’으로 변화하기 위해선 국민들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게 박 대통령의 생각이다.
박 대통령은 정치권, 특히 야당을 겨냥해 “국회 마비는 직무유기” “국민이 직접 나서야 한다”며 대국회 비판발언을 이어갔다. 지난해 연말과 올해 초엔 “(19대) 국회 비협조로 노동개혁이 좌초되면 역사의 심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진실한 사람들이 (20대) 국회에 들어가야 국회가 국민을 위해 제대로 작동할 것”이라고 해왔다. 이런 측면에서 총선 전날인 12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19대 국회에 대한 날선 비판을 가하면서 야당 심판론을 제기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거래와 흥정이 끊이지 않는 국회를 겨냥한 국민의 ‘한 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선거의 여왕’이라는 수식어답게 과거 17·18·19대 총선에서 매번 주인공 역할을 해왔다. 2004년 17대 총선에선 탄핵역풍을 뚫고 “한 번만 기회를 더 달라”며 전국 유세에 나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의 선전을 이끌었다. 18대 총선에선 자신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4년 전 19대 총선에서도 당명 변경 등을 주도하면서 총선 승리의 주인공이 됐다. 사실상 마지막으로 영향을 미치는 20대 총선에서도 어떤 식으로든 유권자들에게 메시지를 던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선거의여왕' 박대통령의 총선 직전 메시지는
입력 2016-04-10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