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적으로 여야 1 대 1 구도가 형성됐던 제19대 총선과 달리 이번 총선은 지역별로 다양한 경쟁구도가 형성됐다. 이에 따라 지역별 총선 결과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말 국정 드라이브 동력 확보 여부와 야권의 내년 대선 후보 경쟁, 여야의 총선 후 의회 구도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의 선택, 박 대통령 국정장악력 결정=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는 이른바 ‘진박(진실한 친박) 대 무소속·야권’ 대결이 한창이다. 여당의 공천파동의 결과 당을 떠난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하는 여론조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됐다. 새누리당의 무공천으로 유승민(동을) 후보는 재선이 거의 확실시 된 상황에서 무소속 주호영(수성을) 류성걸(동갑) 후보 등이 선전하고 있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부겸(수성갑) 후보와 더민주 컷오프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홍의락(북을) 후보의 돌풍이 이어지고 있다. 여당은 대구 시민들이 결국 투표장에 들어서면 1번(새누리당)을 찍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K(대구·경북) 지역에서의 박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역시 공천파동이 한창이었던 3월 이후에도 꾸준히 50~60%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변이 일어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3월 셋째주 70%였던 TK지역 새누리당 지지도가 이번 주에는 58%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13%였던 더민주의 지지도는 20%로 올랐다. 전문가들은 대구 선거 결과가 박 대통령 잔여 임기 국정장악력을 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소속 후보나 야권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큰 표 차이로 이기기는 어렵다고 보지만 이 경우 ‘박근혜 마케팅’이 효력을 다했다는 것을 입증하게 될 것”이라며 “(대구의 선택이) 박 대통령의 임기 말 여당장악력과 국정장악력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야권 운명 결정지을 호남·비례대표=총선 후 야권은 호남과 비례대표 의석 확보 여부에 따라 정치지형이 크게 흔들릴 전망이다. 국민의당은 자신이 공언한대로 호남 28석 가운데 20석 이상을 확보할 경우 명실상부한 ‘제2야당’이자 ‘정통 야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창당 후 계속된 적통 논란도 한번에 해소할 수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 역시 대권에 한걸음 더 가까워지게 된다. 야권 전체에 ‘호남만으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없지만, 호남 없이도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퍼져 있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석수도 야권 지지자들의 마음을 해석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당과 정의당이 정당투표에서 약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역구에서는 ‘사표 방지’ 심리로 제1야당에 대한 표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비례대표 투표는 이와 같은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無風’ 수도권 표심은 ‘심판론’ 승부=이번 총선에서 수도권 선거구는 모두 122곳으로 전체 지역구 253석의 절반에 가깝다. 통상 수도권은 총선 직전 ‘바람’에 민감하게 움직이곤 했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는 특별한 바람이 불지 않아 수도권 유권자의 표심도 오리무중이다. 수도권 유권자의 선택이 결국 여당의 ‘야당 심판론’과 야당의 ‘정권 심판론’ 가운데 양자택일 하는 형태가 되면서 내년 대선을 앞둔 민심의 풍향계 역할도 하게 될 전망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총선 결과 해석할 세 가지 지표 ①대통령의 고향 ②호남·비례대표 ③‘無風’ 수도권
입력 2016-04-08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