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말 이뤄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일 합의를 다시 뒤집는 발언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우익 인사나 자민당 관계자가 아니라 우리의 차관에 해당하는 정부 부장관에 의한 발언이어서 더욱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하기우다 부장관은 전날 BS후지 ‘프라임뉴스’에 출연해 “위안부 재단에 대한 10억엔 출연과 소녀상 이전 문제 가운데 무엇이 먼저냐”는 질문에 “소녀상이 어떻게 되느냐, 뭐가 어떻게 되느냐는 것은 (한일간 합의문에) 분명히 쓰여있다. 양국간 관계에서 말하자면 패키지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재단이 설립돼) 설립기념식을 하는 날에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거기서 집회를 하는 것은 우리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하기우다의 이런 발언은 지난해 합의가 일본 입장에서는 한국과 ‘주고받기’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소녀상 이전과 위안부 재단 지원이 서로 맞물려 이뤄지는 한 가지 사안임을 강조한 것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일본 측 인사로부터 재단 지원과 소녀상 철거가 ‘반대급부’ 차원이라는 비슷한 주장이 제기될 때마다 관련 사실을 부인해왔다. 하지만 이번에 또 다시 일본에서 같은 주장이 되풀이됐고 게다가 차관급 인사에 의해 발언이 나오면서 우리쪽 시민사회에서 비판 여론이 다시 거세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이번엔 일본 관장부장관이 "소녀상 철거와 재단지원은 패키지" 주장
입력 2016-04-07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