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메카 거제시 고용 위기

입력 2016-04-07 15:17
한국 조선소 수주잔량이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국내 조선 산업의 중심지인 경남 거제지역 경제가 뿌리째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남 거제의 대우조선해양 노조와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가 7일 오전 거제시청에서 기자 회견을 갖고 거제를 ‘고용위기지역’으로 조선업종 전체를 고용위기업종으로 지정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대우조선 노조와 삼성중 노동자협의회는 “해양프로젝트 건조 물량 급감으로 거제지역에서만 최소 2만여 명의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고용대란이 빚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노조 및 노동자협의회는 “향후 고용대란에 대비하지 않으면 6월 이후 걷잡을 수 없는 혼란이 우려 된다며 고용위기지역 지정으로 일자리를 잃게 되는 근로자들의 생계 유지를 도와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 같은 내용의 요청서를 거제시와 시의회에도 전달해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위해 노력해 줄 것과 양사 사측에 대해서도 고용대란을 피할 수 있도록 긴밀한 논의를 당부했다.

정부에는 거제시의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조속히 선포해 고용대란을 막아내야 한다고 촉구함과 동시에 조선산업 불황에 따른 전반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우조선 및 삼성중 사측에 대해서는 해양프로젝트 물량 감소에 따른 대량해고를 막을 수 있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20대 총선 후보자들에 대해서는 조선불황에 따른 고용안정 대책을 공약으로 채택하고 당선 시 거제지역 고용안정과 조선산업 육성을 위한 대정부 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해양플랜트 노동시장은 프로젝트가 끝나면 계약이 자동 해지되는 방식으로 필요한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있어 고용안정은 취약한 구조다.

현재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는 대우조선해양 18기, 삼성중공업 24기로 1기 당 최소 1000명에서 3000명까지 고용된 것을 고려할때 올해 14기를 인도할 경우 2만명 이상 실직이 우려된다.

거제=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