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설탕 섭취 줄이기 나선다

입력 2016-04-07 11:01
정부가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설탕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2016~2020년)’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가공식품을 통한 설탕 섭취를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한다는 목표다.

정부가 국민의 설탕 섭취 줄이기에 나선 이유는 최근 어린이와 10·20대에서의 설탕 섭취가 위험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19~29세의 가공식품을 통한 설탕 섭취량은 2010년 기준을 초과했다. 2013년 조사에서는 3~29세 전 연령층에서 기준을 초과해 과다 섭취 연령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하루 열량의 10% 이상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질병 발생위험이 비만은 39%, 고혈압은 66% 높다고 조사된 바 있다.

정부는 현재 열량·당류·나트륨 등에 대한 영양표시가 이뤄지고 있는 100개 식품유형에 대해 당류의 ‘%영양성분 기준치’ 표시를 의무화한다는 계획이다. %영양성분 기준치는 제품에 들어 있는 영양성분의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뜻한다. 영양표시 의무 대상 가공식품을 2017년까지 시리얼류, 2019년까지 드레싱·소스류, 2022년까지 과·채가공품류 등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탄산음료와 캔디류 등 어린이 기호식품 가운데 당류 함량이 높은 고열량·저영양 식품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고열량·저영양 식품임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한다.

‘당을 줄인’ ‘저당’ 등 표시·광고가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도 개정된다. 어린이·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키즈카페와 과학관, 수련원 등에서는 탄산음료 등의 판매를 제한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 학교에서는 커피 자판기 설치가 금지된다. 손문기 식약처장은 “이번 종합계획이 국민 스스로 당류에 대한 인식과 입맛을 개선하고 당류를 줄인 식품의 생산·유통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당류 섭취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책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