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하던 노진규가 지난 3일 골육종 투병 끝에 끝내 숨져 주변의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특히 골육종은 어릴 때 겪게 되는 ‘성장통’으로 오인할 수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골육종은 15세 이하 청소년기에 뼈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악성 종양, 즉 암이다. 주로 뼈성장이 활발한 무릎 주위 뼈에서 발생하며 드물게 골반이나 척추뼈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골육종이 무서운 이유는 나이 때문이다. 50대에서도 간혹 발생하기는 하지만 주로는 10대, 특히 13~15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남자 아이에게서 좀 더 흔히 발생한다. 이 연령대에 뼈에 암이 생겼을 것이라고는 아이도 부모도 전혀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을 받는 시기가 늦은 편이다.
인구 100만명 당 한 해에 2.1명 정도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대략 한 해에 100명에서 150명 사이로 발생할 것이라 추정된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골육종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다.
80% 정도의 골육종이 발생하는 부위는 무릎 주변인데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통증과 통증 부위가 붓는 것이다. 증상은 수주에서 수개월 정도 지속되지만 대개 성장통이라고 생각하거나 운동 중 다친 것으로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박종훈 교수는 “청소년기에는 부모님이 아이의 몸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유아보다 덜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힘들어진다”면서 “아이들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 될 경우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한다. 3주 이상 물리치료를 받았는데도 통증이 계속되고 붓기가 빠지지 않는다면 반드시 MRI 등 정밀검사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골육종은 수술 전에 짧은 기간 동안 항암치료를 받은 뒤 수술로 종양을 제거하고 수술 후 다시 항암치료를 한다. 골육종은 한 번의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꾸준한 항암치료로 온 몸 곳곳 뼈에 생긴 암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쇼트트랙 노진규 투병 골육종 "성장통으로 오인 조심"
입력 2016-04-04 1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