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등 활용 전자정부 업그레이드 한다…행자부,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 발표

입력 2016-04-01 17:21 수정 2016-04-01 18:55
2020년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미래상. 행정자치부 제공
전자정부 2020 비전과 전략.
정부가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사회 현안에 대한 대안 및 정책을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전자정부 수출의 거점이 될 ‘전자정부 협력센터’도 세계 5대 권역별로 구축된다.

행정자치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전자정부 민관협력포럼 위원과 중앙부처·광역지자체 정보화책임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보고대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전자정부법에 따라 최초로 수립된 전자정부 계획으로 행자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마련한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 PC나 인터넷 뿐 아니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핵심수단으로 활용해 전자정부의 내용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행정 분야는 물론이고 정치·사회 분야까지 민관협력 파트너십을 확산하고 국민 개개인의 복합적 속성과 니즈(needs)를 반영한 통합형 전자정부 서비스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행자부는 이를 위해 정부서비스 재설계, 인지·예측 기반의 지능행정 실현, 산업과 상생하는 전자정부 신생태계 조성 등 5대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우선 국민이 종이서류 없이 하나의 인증과정을 통해 위치·시간·디바이스에 제한 없이 자신의 요구를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또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 공공서비스 또는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해 재난·안전·치안 등 복잡한 사회현안에 대한 최적의 대안과 정책을 개발하고 적시에 대응하는 지능형 의사결정 체계도 만들 예정이다.

아울러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행정에 적용해 범죄를 예측하고 범죄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세계 5대 권역별로 전자정부 협력센터를 구축해 전자정부 해외 수출의 현지 전진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