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북한의 위성항법시스템(GPS) 전파 교란행위와 관련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일 “이번에 북한이 GPS 전파 교란을 초래하는 도발행위를 한 것은 관련 국제협약을 위반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하고 무모한 행위”라며 “북한은 이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북한은 이날 해주와 연안, 평강, 금강 등 4곳에서 이틀째 GPS전파교란을 실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군사분계선(MDL)과 가까운 지역에서 GPS전파교란을 했다. 아직까지 우리군 무기와 작전행동에 지장을 주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군은 GPS전파교란에 대비해 관성항법장치(INS)전환 등을 통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군 주요무기류에 대부분 상용 GPS가 장착돼 있어 교란행위가 장기화될 경우 상당한 피해가 우려된다. 지대지 순항 미사일 ‘현무-3’를 비롯해 함대함 미사일 ‘해성’ 등 국내에서 개발된 무기들 대부분은 상용GPS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다련장 ‘천무’의 전술유도탄과 공군 KT-1 기본훈련기, F-5 전투기, 차기 호위함급 이하 함정에 장착된 일부 무기류에도 상용GPS수신기가 장착돼있다.
이들 무기들이 GPS전파 교란을 받게 되면 목표물을 제대로 타격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다. 또 적과 아군을 구분하지 못해 작전수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위험성에 대비해 미군은 주요 무기류에 대부분 군용GPS 수신기를 장착해 전파교란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北, 해주 연안 평강 금강 등 4고서 GPS 교란 전파 발사
입력 2016-04-01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