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빚 수렁’에 빠져들고 있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170%선으로 올라섰고, 부채금액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15년 자금순환(잠정)’을 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는 1422조7000억원으로 집계돼 2014년(1296조1000억원)보다 126조6000억원 늘어났다. 이를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처분가능소득(837조2000억원)으로 나눈 비율은 169.9%에 달한다. 2014년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 소득 대비 부채 비율(162.9%)보다 1년만에 7.0% 포인트 증가했다.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주택담보대출 등의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난 반면 소득 증가율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부동산시장 규제가 완화되고 기준금리가 연 1.5%로 낮아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한은이 이날 함께 발표한 ‘2015년도 연차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가계가 은행에서 빌린 대출 증가액은 44조1000억원(모기지론 양도분 제외)으로 2014년 증가액(38조5000억원)보다 5조6000억원 늘어났다. 보험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액(72조7000억원)까지 포함하면 지난해에만 가계대출이 116조8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순처분가능소득은 2014년 795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837조2000억원으로 41조4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심각하게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한국 가계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130.5%)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2014년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을 2017년까지 5% 포인트 낮추겠다고 공언했지만 헛구호가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지난해 가계 소득 대비 부채비율 170%로 전년대비 7% 포인트 증가
입력 2016-03-31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