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시대에서 뒤쳐졌던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을 앞세워 왕좌 탈환을 노린다.
MS는 3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 회의 ‘빌드 2016'에서 지능형 대화(conversational intelligence)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 스마트폰 앱이 해왔던 역할을 ‘AI 기반의 봇’이 대체한다는 것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지금 지능화된 기술이 사람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며 “MS는 이를 지능형 대화 플랫폼(Conversations as a Platform)이라고 정의한다”고 설명했다.
스스로 이해하고 사람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봇이 포함된 코타나 인텔리전스 스위트 ‘코타나 인텔리전스 스위트(Cortana Intelligence Suite)’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지, 분석 및 지능봇에 대한 최신 연구로 한층 기능이 강력해졌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기반으로 구현된 이 기능들로 개발자나 기업에서는 인간의 소통 방식을 이해하는 새로운 앱이나 개인화되고 지능적인 방식으로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지능봇이나 에이전트 등을 포함한 지능형 솔루션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타나 인텔리전스 스위트의 두가지 신규 에디션을 프리뷰 버전으로 추가했다. 첫째는 마이크로소프트 코그니티브 서비스(Microsoft Cognitive Services)다. 스스로 듣고, 말하고, 이행하고 통역하도록 해주는 지능형 API 들을 제공한다. 두번째로 마이크로소프트 봇 프레임워크(Microsoft Bot Framework)는 SMS/문자/오피스365/웹/슬랙(Slack)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람과 같이 대화할 수 있는 지능봇을 개발할 수 있다. 더불어 어떤 언어든 상관 없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자들이 어떻게 코타나 인텔리전스 스위트를 활용해 비즈니스뿐 아니라 삶의 방식까지 변화시켜주는지에 대해 시연했다. 한 예로, 난시나 시각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전 컴퓨팅 기술이 구현된 AI가 시연 됐다.
이와 함께 새로운 스카이프 봇 포털(Skype Bot Portal)에 SDK, API, 워크플로우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스카이프 봇 플랫폼(Skype Bot Platform)도 선보였다. 이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은 문자, 음성, 영상, 3D 반응형 캐릭터 등 스카이프가 가진 다양한 소통 방식을 활용하는 봇을 개발할 수 있다. 고객들은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에서 최신 스카이프 앱을 다운로드해 스카이프 봇을 시작할 수 있다. 오늘부터 스카이프 봇 플랫폼을 사용해 스카이프 봇을 개발하고 수억 명의 스카이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MS "이제는 지능형 대화 시대"
입력 2016-03-31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