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블룸버그 인터뷰 "지금은 제재,압박으로 북한 변화 이끌어야 할 때"

입력 2016-03-31 08:49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은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 변화를 이끌어내야만 궁극적으로 제대로 된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30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 도착한 박 대통령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이 우리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 목표이고, 통일이 새로운 도약의 디딤돌이라는 신념에 변화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대화와 교류, 제재 모두가 평화통일을 위한 도구일 수 있지만, 지금은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선다면 얼마든지 그런 길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앞으로도 도발을 계속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또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가들도 강력한 독자 제재조치를 시행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압박 틀이 마련되고 있다”며 “이번에야말로 국제사회의 지원이 핵과 미사일로 돌아오는 악순환을 반드시 끊어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박 대통령은 사회 일각에서 제기되는 ‘핵무장론’에 대해선 ‘비핵화’가 흔들림 없는 우리 정부의 원칙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사회 일각에서 그런(핵무장론)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나는 ‘핵무기 없는 세상의 비전은 한반도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흔들림 없이 비핵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변화 견인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한·중 양국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한 바 있고, 결의를 충실히 이행한다는 공동의 인식도 갖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를 철저 이행하면서 북한에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게 중요한데,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걸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선 “일본 정부는 작년 말 타결된 위안부 문제 합의의 정신을 존중하고, 역사를 직시하면서 과거의 과오를 잊지 말고 미래세대에 대한 올바른 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31일부터 이틀간 버락 오마바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등 미·중·일 정상과의 연쇄정상회담 및 한·미·일 3국 정상회의를 통해 대북 압박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재천명할 방침이다.

워싱턴=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