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2차 청문회에서 청해진해운과 국가정보원의 유착 의혹이 제기됐다. 전날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대기방송이 청해진해운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진술이 나오는 등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새로운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하지만 특별검사가 가동될지는 미지수다.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29일 열린 청문회 마지막 날, 특조위원들은 청해진해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접대 등 국정원과 유착을 집중 추궁했다. 박종운 특조위원은 “각종 자료와 근거를 통해 국정원과 청해진해운이 ‘특별한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박 특조위원은 접대기록, 영수증, 업무일지 등을 제시하며 청해진해운이 국정원 관계자와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접대했다고 주장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김재범 청해진해운 기획관리팀장은 “연안 여객선 식당 등에서 국정원 관계자를 자주 마주치다 보니 우연히 서로 밥을 사는 관계가 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세월호 인수와 증개축 승인 과정에서 항만청이 보인 부실 검정도 지적됐다. 김진 특조위원은 “지난 10년간 11건의 사고를 낸 청해진해운이 거짓으로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인수와 증개축 인가를 내줘 세월호 사고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박성규 전 인천항만청 선원해사안전과장은 “외국에서 들어온 중고선박의 경우 판매회사에 선박 기본정보를 요청해 확인하기 힘들다”며 “인가신청 처리를 잘못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자 방청하던 세월호 유족들은 일제히 야유를 쏟아냈다.
미수습자 유실 방지 대책이 도마에 오르자 김현태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 부단장은 “인양 과정에서 선체 절단은 하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유가족들이 인양 과정을 참관하게 할 생각이 있느냐는 물음에 연영진 인양추진단 단장은 “참관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이석태 특조위원장은 “청문회가 끝났어도 특조위는 고발권, 검찰수사 요구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상 규명을 위한 후속 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틀 동안 진행된 청문회를 통해 새로운 진술과 의혹이 나왔지만 특검 수사가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특조위는 지난달 국회에 ‘특검 요청안’을 제출했지만 여야 합의 불발로 본회의에 상정되지 못하고 표류 중이다. 특조위는 수사권과 기소권이 없다. 특조위 관계자는 “청문회를 통해 드러난 사실에 대해 특검을 요청하거나 검찰 고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가만 있으라’ 지시…국정원과 유착 의혹…세월호 특검 가동될까
입력 2016-03-2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