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식품 중소기업들은 마케팅과 판로개척에 가장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9일 ‘농식품·해양수산산업 상생자문단’의 무료자문 건수가 1080회(286개사)를 기록해 출범한지 6개월 만에 안착기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10월부터 농식품부·해수부, 농협·수협 등과 함께 상생협력추진단을 구성해 관련 중소기업에 무료자문을 해 왔다. 자문단은 대기업 CEO와 임원출신 자문위원 52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농수산식품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해 경영전략이나 재무관리 등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문을 받는 기업은 매출규모 5억원 미만의 소기업이 50.3%로 가장 많았다. 10억~30억원 기업이 17.5%로 뒤를 이었다.
가장 수요가 많았던 자문분야는 ‘마케팅·판로개척’으로 36.8%를 기록했다. 전통 장류를 제조·판매하고 관광농원을 운영하는 S농원은 지난해 말 경영난에 시달리다 자문단을 찾았다. 자문단은 체험관광보다는 비수기나 사회 분위기에 영향을 덜 받는 장류 판매를 늘리기를 조언했다. 홈쇼핑과 모바일 진출방안도 집중 자문해 새로운 홈페이지를 오픈했고, 지난 3개월간 매출이 약 4억원 증가했다. S농원 대표 서모씨는 “발효식품의 효과를 제대로 알리지 못해 고민하다가 자문위원으로부터 소기업에 맞는 홈쇼핑·모바일 마케팅 기법을 전수받아 매출이 껑충 뛰었다”고 말했다.
경영전략(16.7%)과 생산·품질관리(10.8%), 기술개발(9.3%), 재무관리(6.0%) 등을 묻는 중소기업들도 많았다. 자문단은 군고구마를 생산하는 M사에 단호박 상품을 개발해 5~9월 공장유휴기간을 없앨 것을 조언했다. 공장가동율은 40%에서 90%로 올랐고, 전체 매출도 2014년 14억원에서 지난해 26억원으로 급증했다. 자문에 따라 홈쇼핑과 마트 등 판로를 넓히고 신규인력도 20명 채용한 결과다.
대한상의는 각 분야의 전문위원이 기업현장을 직접 찾아가 내리는 맞춤식 진단과 처방이 주효했다고 보고 있다. 대한상의 박종갑 사무국장은 “농식품 분야 중소 영세기업들은 대기업의 경영노하우와 같은 고급 자문에 목말라 있는 상황”이라며 “경영전반에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노하우나 지식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시장의 눈으로 무장한 대기업 임원 출신 자문위원의 노하우가 접목돼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농수산식품 중소기업 "마케팅이 제일 어렵다"…대한상의 등 상생자문단 6개월만에 안착
입력 2016-03-29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