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같은 날 ‘통신자료’ 조회한 32명… 기자·야당의원·세월호 가족 등

입력 2016-03-29 11:16 수정 2016-03-29 11:31

국가정보원이 특정 날짜에 기자, 국회의원, 야당 당직자, 노동단체 실무진, 세월호 생존자 가족 등의 통신자료를 무더기로 조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보도에 따르면 국정원은 지난 1월 7일 6건의 같거나 연이은 ‘문서(공문)번호’로 29명의 통신자료를 조회했다. 29명에는 한겨레 기자들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실무자, 더불어민주당·정의당 당직자 등이 포함돼 있었다.

국정원은 또 같은 날짜에 세월호 생존 학생의 아버지 장모(47)씨와 박세훈 고려대 총학생회장, 장하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통신자료도 조회했다.

통신자료는 가입자의 성명·주민번호·주소 등으로 정보·수사기관이 영장 없이 이통사에 요청해 확인할 수 있다. 국정원은 “국가보안법 위반 행위자에 대한 내사 과정에서 피내사자와 연락한 번호가 나와 가입자가 누구인지 확인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한겨레는 1월 7일 통신자료가 조회된 이들이 특정 피내사자와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조회 대상이 된 한겨레 기자들의 경우 경찰·대학 등을 취재하는 사회부문과 식음료·패션 등을 취재하는 경제부문 소속으로 업무영역이 다르다는 것이다.

28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2차 청문회에서 유가족들과 방청인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윤성호 기자

일반인 조회 대상자인 장씨는 현재 세월호가족협의회 진상규명분과 팀장을 맡고 있다. 국정원이 장씨의 통신자료롤 조회한 사실은 앞서 보도로 드러났다.

장씨는 23일 경향신문에 “가족협의회가 국가에 반란을 일으키려는 게 아니고, 아이들의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을 하고, 부모들의 아픈 심정을 호소하는 활동을 해온 것”이라며 “감시당한다는 기분에 행동 자체도 조심해야 될 거 같다. 국정원이라니 황당하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