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파손 수리 비용을 보상해주는 보험료가 안드로이드폰보다 오를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28일 금융관행 개선 20대 과제 중 하나로 실생활과 밀접한 휴대폰 수리 보상 보험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이 파손되면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비용은 저렴한 반면, 아이폰처럼 아예 리퍼폰으로 교체하는 비용이 훨씬 더 비싼데도 불구하고 휴대폰 보상 보험료는 똑같이 책정하는 것이 바로 ‘불합리한 관행’이라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금감원은 “휴대폰 제조사마다 보상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보험상품에도 이런 점이 반영되어야 하다”며 “이밖에 렌터카 보상 보험이나 치매환자 보험 등 생활밀착형 보험의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공인인증서를 1년만다 갱신해야 하고 여전히 액티브엑스 등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개선하고, 신용카드로 편의점에서 소액결제를 할 때 현금 인출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은 “금융 소비자들의 불편과 불신을 초래하는 불합리한 관행을 찾아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아이폰 보험료 오른다
입력 2016-03-28 15:18 수정 2016-03-28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