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결국 김무성 항복 받아냈다

입력 2016-03-25 16:36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는 김무성 대표가 ‘옥새 저항’을 선언하자 발칵 뒤집혔었다. 당 대표 권한대행 운운하며 압박했지만 김 대표가 끝까지 버틴다면 5개 지역 무공천 방침을 뒤집을 도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대표가 결국 정종섭 전 행정자치부 장관(대구 동갑)과 추경호 전 국무조정실장(대구 달성) 공천장에 도장을 찍기로 물러서면서 ‘진박’(진실한 친박근혜) 후보를 살릴 수 있게 됐다. 친박 입장에선 진박도 살리고 김 대표 리더십에도 치명적인 일격을 가하는 등 손해 본 게 없다는 평가가 나왔다.

친박계는 이날 오전부터 김 대표를 강하게 몰아붙였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당 공식기구에서 결정한 공천자를 배제하고 낙천자를 도와주는 식의 결정은 용납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대표가 의결을 보류한 지역은 대부분 여권 텃밭이어서 새누리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 가능성이 높은 곳이었다. 이 위원장은 또 “우리 당은 집단지도체제이기 때문에 선거를 좌우할 수 있는 정도의 중요한 사안을 김 대표 마음대로 하게 놔둘 순 없다”고도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최고위 간담회 후 김 대표에게 정식으로 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최고위 임시회의는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면 대표가 소집하도록 돼 있다. 김 대표도 이를 물리칠 명분이 없어 오전 11시30분 최고위 회의를 소집했다. “당무에 복귀하되 회의는 소집하지 않겠다”던 전날 자신의 발언을 반나절 만에 번복한 것이다. 이어 5시간 가까이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친박은 김 대표를 집요하게 공격해 ‘항복’을 받아냈다.

전세는 역전됐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김 대표가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공세를 예고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총선 승리를 위해 어쨌든 혼란은 접고 미래로 가야 된다는 데 마음을 모은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했다. 완전한 갈등 봉합은 아니란 얘기다. 친박은 김 대표가 최고위 의결 없이 독단적인 결정을 내려 선거를 앞두고 당을 혼란을 빠뜨린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