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3월 넷째 주(22~24일 3일간) 전국 성인 1,004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수행 여부를 질문한 결과, 36%가 긍정 평가했고 52%는 부정 평가했으며 13%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9%).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올해 최저치로, 지난 주에 비해 4%포인트 하락했고 부정률은 3%포인트 상승했다. 긍·부정률 격차는 9%포인트에서 16%포인트로 늘었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15%/65%, 30대 15%/74%, 40대 25%/65%, 50대 51%/41%, 60대+ 65%/23%다.
주요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394명)은 70%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206명), 국민의당 지지층(79명), 정의당 지지층(54명)에서는 각각 87%, 78%, 92%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268명)에서도 부정적 견해가 더 많았다(긍정 20%, 부정 53%).
3월 둘째→셋째→넷째 주 새누리당 지지층에서의 대통령 직무 긍정률이 80%→75%→70%로 하락한 점이 두드러진다. 같은 기간 내 새누리당 지지도는 39%→41%→39%로 변화가 크지 않았다.
참고로 8.25 남북 합의 직전인 작년 8월 셋째 주 새누리당 지지층에서의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65%(전체 응답자 기준 34%), 당시 새누리당 지지도는 40%였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360명, 자유응답) '대북/안보 정책'(19%)(-5%포인트),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2%)(-4%포인트), '외교/국제 관계'(11%)(+3%포인트), '주관, 소신/여론에 끌려가지 않음'(9%), '복지 정책'(6%)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520명, 자유응답) '경제 정책'(16%), '소통 미흡'(12%), '독선/독단적'(11%), '복지/서민 위한 정책 미흡'(7%), '공약 실천 미흡/입장 바뀜'(7%),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6%), '전반적으로 부족하다'(6%) 등을 지적했고 그 외 '공천 문제/선거 개입'(5%)이 새롭게 추가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8%(총 통화 5,495명 중 1,004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朴대통령, 공천대학살 영향...올해 최저치로 폭락” 4%p하락 36%
입력 2016-03-2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