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에 대한 박대통령 분명한 인식은 '본인정치'.. 철저한 무시

입력 2016-03-24 15:43

새누리당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유승민 의원을 바라보는 박근혜 대통령의 시각은 ‘배신의 정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게 청와대의 전반적인 기류다. 지난 21일 박 대통령이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정치권을 정면으로 비판하면서 언급한 ‘본인 정치’ ‘각자 정치’ 역시 유 의원이 결국은 그 대상이라는 말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새누리당 원내대표로 재직하던 유 의원이 정부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한 게 아니라 오히려 국정의 걸림돌로 작용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아직도 이런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고 한다. 특히 지난해 6월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로 이미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는 게 일반적 평가다. 박 대통령은 이후부터 유 의원에 대한 철저한 무시로 일관해왔다.

청와대는 유 의원 탈당에 대해선 공식 언급을 하지 않았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2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관련 질문에 “따로 언급할 것이 없다”고 했다.

다만 청와대 내부적으론 전날 탈당 기자회견에서 “시대착오적인 정치보복” “그 어떤 권력도 국민을 이길 수 없다”고 한 유 의원 멘트에는 냉소어린 비판 분위기가 강하다. 박근혜정부 임기 초반부터 “청와대 얼라들”이라고 각을 세우고, 여당 원내대표 시절 정부정책을 스스럼없이 비판한 유 의원이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느냐는 말도 나온다. 계속 자기정치를 해오던 정치인이 위기 때만 ‘헌법’을 들고 나오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오히려 청와대 내에선 새누리당이 대구 동을 공천 문제를 조기에 정리하지 않고 끝까지 미룬 것이 적절한 것이냐는 목소리도 있다. ‘국정 책임분담’의 기준에 따라 정리하면 되는데, 마지막까지 공천 문제를 끌고 온 것이 오히려 여론 관심을 유 의원에게 쏠리게 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북한발 도발 위협에 대해 이날 “전국에 경계태세를 강화하라”고 지시한 것이 유 의원 탈당에 따른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의미가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