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뻔한 업종 창업하고 폐업하는 악순환…서비스산업 발전시켜야 해결"

입력 2016-03-22 17:11
22일 서울 강남구 호텔 노보텔 앰배서더에서 열린 '서비스산업 발전 및 경쟁력 제고방안’ 컨퍼런스에서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이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중기청 제공

중소기업계가 ‘416만 소상공인’이 몸담고 있는 서비스 산업을 위한 정부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소기업연구원과 서비스사이언스학회는 22일 서울 강남구 호텔 노보텔 앰배서더에서 ‘서비스산업 발전 및 경쟁력 제고방안’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은 지원체계 미흡과 지나친 규제 때문에 발전 속도가 더디다”며 서비스산업발전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김현수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러시아 등 국가들도 서비스 중심국가가 돼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OECD 주요국과 비교하면 소득수준 향상에 비례해 서비스산업이 동반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금융, 교육, 의료, 관광, 소프트웨어, 콘텐츠, 물류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정부의 지원 시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선화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우리나라의 제조업 대비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수준은 42.7%로 미국, 일본, 독일이 70~80%에 달하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서비스산업 사업체의 85.1%가 소상공인”이라며 “서비스산업은 산업과 고용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업종 편중 현상과 과당경쟁, 빈번한 창·폐업 등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서비스산업의 융합, 신규 비즈니스 발굴이 우선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