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 중진 홍문종 의원이 당 지도부와 공천관리위원회의 ‘유승민 고사작전’을 예우이자 애정이라고 평가했다.
홍 의원은 22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공천이 시작되면서부터 공관위원들이 ‘유 의원은 당으로부터 공천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라는 시그널을 보낸 것 같다”며 “본인도 여러 가지 대비를 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홍 의원은 “‘당하고 나하고는 정체성이 달라서 당당하게 무소속으로 심판 받겠다’라고 하는 것이 제대로 된 리더가 되는 방법”이라며 유 의원의 결단을 주문했다. 그는 “컷오프 당하지 말고 당당하게 걸어 나가라는 것”이라며 “그것이 유승민에 대한 예우고 그나마 우리의 애정 표시”라고 거듭 주장했다.
홍 의원은 특히 “국회의원이 많이 당선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목표를 향해 전심전력으로 같이 힘을 합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석을 잃을지언정 정체성이 다른 인사와는 함께 갈 수 없다는 친박 내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다른 친박 의원도 “지금 유 의원의 고집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느냐”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대구에서 ‘유승민계’로 분류됐던 현역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김상훈 의원은 “공천 파동의 진원지는 유 의원”이라고 정면 비판했다. 김 의원은 SBS와 평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많은 의원들이 컷오프되는 상황까지 오지 않았어야 한다”며 “유 의원도 바둑을 복기하듯 왜 이런 과정까지 오게 됐는지 스스로 짚어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측근들이 공천에서 줄줄이 배제되고 유 의원 혼자 남아있는 상황을 “공동묘지에 홀로 꽃이 피는 형국”에 비유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국회법 파동 당시를 떠올리며 “집권여당의 원내대표로서 대통령께 사과하는 게 좋겠다고 말씀 드렸지만 반영될 여지가 없었다”고 하는 등 작심 발언을 이어갔다. 당내에선 김 의원이 경선에 오르기 전부터 이미 친박으로 돌아섰다는 말이 나왔었다. 그는 유 의원의 무소속 출마를 확신하면서 “대구에선 ‘무공천도 그나마 다행’이라는 민심도 있다”고 전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유승민 고사작전이 예우이자 애정이라는 친박
입력 2016-03-22 1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