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두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지카 바이러스’가 드디어 우리나라에 상륙했다. 22일간 브라질을 다녀온 40대 남성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남 광양에 사는 남성 L씨(43)가 22일 오전 지카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L씨는 2월 17일부터 이달 9일까지 22일간 업무차 브라질 동북부 세아라주를 방문했으며, 이 기간에 ‘이집트 숲모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세아라주는 지카 감염 환자가 발생한 지역이다.
L씨는 이후 이달 11일 독일을 통해 국적기로 귀국했다. 입국시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5일 후 지난 16일 발열 증상이 생겨 이틀 뒤 전남 광양의 한 의료기관을 찾았다. 또 19일부터는 근육통과 발진이 생겨 21일 다시 의료기관을 방문했다.
두번째 방문 의료기관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돼 보건소에 신고했다. 보건소에서는 즉시 검체를 채취했고 전남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유전자 검사를 시행했다. 21일 1차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하루 뒤인 이날 아침 6시에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최종 감염 양성자로 확진했다.
질병관리본부 정기석 본부장은 “우리나라에 유입된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라면서 “현재 환자의 발열 증상은 가라 앉았고, 발진도 거의 들어가 임상적으로는 회복 단계”라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환자는 격리 치료 필요 없으나 첫 감염 사례라 현재 전남대병원에 입원해 추가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질본은 L씨의 배우자에 대해서도 역학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국내 지카 바이러스 감염 의심 환자는 124명이며 이 중 123명이 음성 판정을 받았다. 1명은 검사 중이라고 질본 측은 밝혔다.
정부는 지카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예방 수칙을 보급해 왔다. 인접 국가로는 중국 13명, 일본 4명의 지카 감염 환자가 유입됐다. 브라질과 콜롬비아은 수천명의 감염자가 나오고 있으나 사망자는 각각 1명, 3명에 불과해 치명률은 낮은 편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지카 바이러스 한국 상륙…브라질 다녀온 40대 남성…배우자 역학조사 방침
입력 2016-03-22 11:51 수정 2016-03-22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