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2030년까지 ‘무탄소섬’으로 거듭나기 위해 전기자동차 확산에 팔을 걷어붙였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18일 제3회 국제 전기자동차 엑스포 개막을 맞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기차의 ‘글로벌 테스트베드’로 제주도의 입지를 굳히겠다고 밝혔다.
원 지사는 지난해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이후 우리 정부에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고 했다. 그는 “가장 역점을 두는 부분은 임기 내에 기본적인 전기차 인프라를 완비하고 초기 시장 규모 2만대를 돌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100% 전기차로 대체해 ‘무탄소섬’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내년까지 공공기관과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10%, 2020년까지 렌터카 등을 포함해 40%로 전기차 비율을 높이는 단계적 전환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행 중인 전기차의 40%는 제주에 있다. 제주도는 올해 기아 소울, 르노삼성 SM3, 닛산 LEAF, BMW i3 등 8종 3963대를 민간에 보급한다.
원 지사는 무탄소섬 목표를 더 빨리 달성하기 위해 기술적 요인은 물론 사회적 요인을 개선해 ‘수요’를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소비자가 충전 소요 시간 등 불편을 감수하면서 전기차를 선택하는 건 4000만원에 달하는 차량 가격의 절반을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등의 유인책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원 지사는 “보조금은 언제까지 어느 수준으로 지급될지 가늠할 수 없는 모래시계와 같다”며 “배터리 가격을 낮추는 기술적 발전을 촉진하는 한편 가격 부담과 충전 불편을 감수하고라도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수반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중교통 차량의 전기차 전환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대중교통은 운행시간이 길고 배출량이 많아 전기차로 전환할 경우 탄소감축 기여도가 높다. 현재 제주도에서 운행되는 전기버스는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23대뿐이다. 원 지사는 “아직까지 국산버스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충전 방식에 대한 기술 검증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지만 올해부터 차츰 보급 대수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회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 제주도 등이 공동 주최하고,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조직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번 엑스포는 ‘혁신적인 친환경 세상을 즐기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24일까지 1주일간 이어진다. 현대·기아차, 르노삼성, BMW, 닛산 등 국내외 주요 전기차 완성차업체들을 비롯해 총 145개 기업이 참가한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원희룡 "제주는 전기차의 글로벌 테스트베드…2030 무탄소섬 달성"
입력 2016-03-18 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