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원영 군 학대 사망사건’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가운데 안상수 경남 창원시장이 사회악에 대한 ‘철퇴행정’을 추진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창원시는 ‘아동학대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해 행정적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응체계 및 관계기관 네트워크 구축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안 시장이 ‘아동 방임’ 및 ‘학대사건’을 사회악으로 규정하고 이를 발본색원하라는 지시에 따른 것이다.
시가 마련한 종합대책은 장기결석 아동 추적관리, 아동학대 위기가정 일제조사 및 사례관리, 아동학대 근절 지킴이단 운영, 아동학대 행위자 처벌 강화 등이다.
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아동학대 신고포상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 조례 제정을 위해 지난달 25일 법제처에 질의를 요청한 상태다.
또한 시민들의 아동학대 신고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구청, 읍면동 62곳에 ‘아동학대 신고접수창구’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시는 다음달까지 아동학대 위기가정 및 주민등록 말소 아동에 대한 일제조사를 벌인다. 아동 학대 및 가정폭력, 정신질환 부모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신고와 조사, 관리체계를 이어가고, 위기가정의 사례별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된다.
이와함께 시는 시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해 ‘자녀와 소통을 위한 부모교육’을 연중 개최하고 ,보육시설 및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오는 31일에는 아동위원 및 청소년 지도위원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예정됐다.
이러한 아동학대 근절 행정에 대해 시민들의 호응도 이어지고 있다. 누리꾼들은 “진짜 잘하셨어요. 전국으로 퍼졌으면 합니다”, “아주 바람직하네요. 신고포상제를 하면 적극적으로 신고할 듯, 이거 굿 아이디어입니다” 등 적극적인 의견을 쏟아내고 있다.
안상수 시장은 “아동은 미래의 성장동력이고, 아동학대는 국가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사회악”이라며 “‘신원영 군 사망사건’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최근 초등학교 장기결석 아동 10명을 조사하고, 소재가 미확인된 5명에 대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시는 또 학대 우려가 되는 아동들을 격리 보호조치하고, 지속적인 예방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사후관리 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안상수 창원시장의 아동학대 등 사회악 철퇴행정 큰 호응
입력 2016-03-17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