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는 17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단간담회를 열어 "미국의 대북제재 행정명령은 효과적인 대북제재 체제 전체의 완성에 도움이 된다"며 "유엔의 대북제재는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미국 제재에 이 개념이 적용된 것은 의미 있다"고 평가했다.
오 대사는 "이번 제재 결의 (2270호)를 보면 북한이 가용한 자원을 주민 복지에 사용하지 않고 무기 개발에 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며 "이는 재원과 자원을 핵무기 개발에 사용하는 것이 문제라는 (국제사회의) 인식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이 지금까지 총 40억 달러를 핵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했을 거라는 추정이 있는데, 이는 유엔의 대북 인도적 지원 40년 치에 해당한다"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중단하면 북한 주민의 인권과 생활이 나아질 거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고도 했다.
오 대사는 "인도주의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계속되는 게 맞지만, 북한이 안보리 결의에 계속 도전하면서 북한을 지원할 수 있는 국가들이 지원을 꺼리고 있다"며 "유엔이 정한 대북 인도지원 목표가 최근 몇 년간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 대사는 이밖에 "북·미 간 대화에 사용됐던 뉴욕채널은 4차 핵실험 이후 가동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북미 평화협정 접촉 보도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오준 “北핵개발 40억달러...유엔 대북 인도적 지원 40년치”
입력 2016-03-17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