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3월 3주차 주중집계(3월 14일~16일)에서 정당지지도의 경우 새누리당이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3.4%p 하락한 40.7%를 기록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29.3%, 국민의당은 12.2%로 각각 1.5%p, 1.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의당 역시 2.1%p 오르며 7.8%를 기록했고, 기타 정당이 1.5%p 상승한 3.7%로 집계됐다. 무당층은 2.8%p 감소한 6.3%.
일간으로는 새누리당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정체성 위배 인사 공천 배제 시사 발언이 있었던 14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2.7%p 하락한 41.4%로 시작했고, 윤상현 의원과 이재오, 진영 등 비박 의원이 대거 탈락한 15일(화)에는 정체했다가,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위원장이 충돌한 16일(수)에는 40.4%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은 ‘친노 좌장’ 6선 이해찬 의원과 5선 이미경 의원이 공천 배제된 14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0.6%p 상승한 28.4%로 시작했고, 이해찬 의원이 탈당·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15일(화)에도 28.9%로 상승한데 이어, 김종인 대표가 4·13 총선 목표로 현재 의석수인 107석 유지를 제시한 16일(수)에도 29.6%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대표가 야권연대 불가 입장을 재천명한 주말을 거치며 14일(월)에는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0.8%p 상승한 11.9%로 시작했고, 더민주를 탈당한 정호준 의원의 국민의당 합류 가능성이 전해진 15일(화)에는 12.9%로 추가 상승했으나, 16일(수)에는 정호준 의원의 합류로 교섭단체 구성 소식이 있었음에도 임내현 의원의 탈당 가능성 보도로 11.5%로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새누리 36.5% vs 더민주 33.8%, 국민의당 10.2%, 정의당 9.5%)에서는 야권이 53.5%로 새누리당보다 17.0%p 더 높았고, 대전·충청·세종(새누리 40.6% vs 더민주 30.5%, 국민의당 16.2%, 정의당 5.9%)에서 또한 야권(36.8%)이 새누리당 보다 12.0%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경북(새누리 71.4% vs 더민주 13.3%, 국민의당 4.4%, 정의당 2.6%)에서는 새누리당이 야권(20.3%)보다 3배 이상 우세했다. 부산·경남·울산(새누리 52.1% vs 더민주 23.6%, 국민의당 7.0%, 정의당 5.5%)에서는 새누리당이 야권(36.1%)에 비해 16.0%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라에서는 국민의당(34.2%)와 더민주(33.9%)가 해당지역 오차범위(±8.3%p) 내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주중집계는 2016년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18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60%)와 유선전화(40%) 병행 임의걸기(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4.4%이다. 통계보정은 2015년 12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 일간집계는 ‘2일 이동 시계열(two-day rolling time-series)’ 방식으로 14일 1,009명, 15일 1,017명, 16일 1,01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응답률은 14일 5.0%, 15일 4.3%, 16일 4.1%, 표본오차는 3일간 모두 95% 신뢰수준에서 각각 ±3.1%p이다. 일간집계의 통계보정 방식은 주간집계와 동일하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sdc.go.kr)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이한구發 공천, 새누리당 지지율 다 까먹다” 40% 턱걸이
입력 2016-03-17 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