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동 주민센터 복지허브로 전환, 명칭도 2018년까지 순차적으로 행정복지센터로 전환

입력 2016-03-16 14:41 수정 2016-03-16 18:17
행정자치부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맞춤형 통합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거점으로 전환하면서 사무소 명칭도 기능에 걸맞게 행정복지센터로 바꾸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행자부는 우선 복지허브화 선도 대상으로 선정된 전국 30개 지자체 33개 읍·면·동 사무소에 대해 5월까지 복지담당 공무원을 늘리고 명칭 변경에 따라 현판 및 안내판 교체,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복지팀은 내방민원 상담·접수, 단순 서비스 지원 역할을 수행했으나 별도 3명 이상으로 구성되는 맞춤형복지팀은 가정 방문상담 등을 통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를 추가 발굴하고 개인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등의 기능을 전담하게 된다.
행자부는 행정복지센터를 연말까지 700여개 읍·면·동으로 확대하고 2018년 말까지 전국 3502개 읍·면·동 주민센터를 모두 행정복지센터로 바꿀 계획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저출산·고령화 등 환경변화와 복지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읍·면·동 등 지역단위의 복지기능이 확대됐다”며 “주민들이 기능변화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에 걸맞게 주민센터 명칭도 행정복지센터로 변경한다”고 말했다.
현판 교체에는1곳당 약 300만원, 총 105억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비용은 자치단체별 지방비로 충당될 예정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