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내 청년비례대표 공천 과정의 문제를 짚으며 “청년들에게 실망과 아픔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15일 페이스북을 통해 “(청년비례) 제도에 대해서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청년의 아픔에 고민도 없는 분들이 이 제도를 운영하면서 계속 청년들에게 실망과 아픔을 주고 있다”며 “왜 이렇게 당이 당원들을 부끄럽게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12년 김 의원이 청년비례대표에 지원했을 당시 지원자는 382명이었다. 하지만 14일 진행된 청년비례대표 후보 면접에는 남성 17명, 여성 5명이 지원했다.
김 의원은 참가자 수가 급격히 줄어든 이유로 ‘돈 문제’를 꼽았다. 그는 “청년비례대표 참가비가 100만원이며 경선에 오르면 수천만원의 경선비용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며 “처음부터 ‘흙수저’는 도전할 기회조차 막아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합리적인 선발 과정도 문제였다. 김 의원은 “5분의 면접으로 최종대상자 남녀 2명씩을 뽑고는 최종에 오른 후보가 공천관리위원장 의원시절 비서관으로 있다가, 새누리당에서 비서관을 하던 분이라는 게 언론에 공개되자 후보자격을 박탈시키고 다른 한명을 대상에 집어넣었다”며 지원자의 경력사항 조차 파악하지 않은 공천위원회에 대해 “황당하고 분노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난리를 치고는 당장 내일(16일)부터 후보 4명을 두고 여론조사를 돌려서 최종당선자를 정한다고 한다”며 “단 1분짜리 정견발표 한번 들어보지 못하고, 상호간에 토론회 한번도 없는 상태에서 도대체 누구를 어떻게, 왜 뽑으라는 말인가. 무슨 정당의 운영을 이렇게 하느냐. 정말이지 해도 해도 너무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많은 언론과 인터뷰를 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것과 지난 4년 성과중 가장 의미있는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으면 항상 했던 대답은 ‘청년비례1기로서 저의 부족함으로 인해서 청년비례2기가 없어지게 되는게 가장 걱정이고...
에 의해 게시 됨
더민주는 지난 14일 청년비례대표 지원자 22명 중 9명을 추려 면접을 진행했다. 고액의 참가비를 받았지만 13명을 서류심사에서 탈락시킨 것이다.
면접이 끝난 후 3시간 만에 결과가 발표되면서 내정자 의혹까지 불거졌다. 면접에서 탈락한 김빈 예비후보는 14일 “면접시간 5분도 이해하기 힘든데 결과가 이렇게 빨리 나온 것은 더욱 이해가 안 된다”며 “컷오프 이유에 대해 어떠한 설명이 없었고 납득할 수 없어 이의신청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15일엔 청년비례대표 후보로 선출된 김규완 예비후보가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의 비서 출신이자 새누리당 의원실 근무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고 알려지며 논란이 됐다. 결국 더민주는 김 예비후보의 자격을 박탈했다.
같은 날 더민주 비례대표추천관리위의 한 당직자가 특정 후보를 1대 1로 지도하며 면접 통과를 도운 정황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더민주는16일부터 이틀 동안 4명의 후보에 대해 여론조사 투표를 실시해 최종 추천 후보를 가려낼 계획이다.
박상은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