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 윤상현 의원의 거취 문제가 총선 판세 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유 의원 컷오프를 정조준하고, 윤 의원 거취문제는 늑장을 부리는 것처럼 비치면서 여권 내에서는 벌써부터 ‘정권의 오만’ 프레임이 굳혀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당의 결정과 둘의 대응에 따른 후폭풍이 총선 성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15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당 공천관리위원회가 텃밭인 대구 현역 의원 컷오프에 나서면서 대대적인 물갈이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지만 이를 두고 ‘개혁공천’이라고 평가할 사람이 누가 있느냐”며 “유 의원의 컷오프는 수도권 판세에 악영향 그 자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의 칼날이 사실상 유 의원과 그의 주변인사 등 특정 세력을 정조준 하는 것처럼 비취면서 계파 갈등만 부각됐고, 개혁공천의 명분은 잃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공천 탈락한 현역 의원 17명 중 친박(친박근혜)계도 7명이 포함됐지만 관심은 ‘배신의 정치’ 낙인이 찍힌 대구에만 집중되고 있다.
이 위원장이 전날 컷오프 기준으로 ‘당 정체성’을 강조하면서 유 의원 공천탈락으로 정권에 대한 비판이 금지된 ‘거수기 정당’ 이미지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야권에서 새누리당의 공천을 문제 삼아 정권 오만 프레임을 가동할 경우 수도권 부동층을 중심으로 ‘심판’ 바람이 불수 있다는 것이다.
유 의원이 무소속 출마에 나설지 여부도 변수다. 국민일보 여론조사(13일자 3면 참고)에서 유 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가정해도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유 의원의 무소속 출마 자체가 정권 오판 프레임을 가중할 수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컷오프된 현역들의 무소속 출마 러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미 김태환, 주호영 의원 등 상당수가 공천결정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유 의원과 ‘대척점’에 있는 윤 의원 거취도 관건이다. 친박계 이성헌 전 의원은 “수도권 지역에선 윤 의원에 대한 거취 결정이 없으면 지지하지 않겠다는 얘기를 듣고 있다”며 “윤 의원 문제는 (수도권 선거에서) 매우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의 한 초선의원은 “이 위원장이 유 의원과 윤 의원 거취 문제를 ‘세트’로 묶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 그 자체로 공천 공정성 시비를 일으켰다”고 말했다. 유 의원과 윤 의원이 동반 탈락하더라도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당으로선 결국 ‘유 의원 탈락, 윤 의원 공천’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 돌입하면 당내 분란보다는 여야간 대결에 이목이 집중돼 공천 잡음이 ‘찻잔 속 태풍’에 그칠 수 있다는 시각도 만만찮다. 총선에서 정권 심판론과 야당 심판론이 부딪힐 경우 오히려 지지층 결집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총선은 아직 한 달 남았다. 프레임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유승민 윤상현 거취, 총선 판세 핵으로 부상하나
입력 2016-03-15 1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