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면세점 특허 추가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현대백화점이 시내면세점 ‘허가제’를 ‘신고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7월 신규 특허 경쟁에 참여했으나 특허를 따내지 못했다.
현대백화점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허가제를 신고제로 전면 개방하여 면세점 간 경쟁을 촉진시켜 우수 업체들이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하고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면세시장의 진입 장벽 자체를 완전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고제 전환이 법 개정 등의 문제 때문에 힘들다면 상당수 기업에 사업권을 주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백화점은 “상당수 기업에 사업권을 주더라도 신규 면세점은 사업권을 잃은 롯데, SK를 비롯해 현대백화점과 이랜드 등 3~4개 이상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면세점 증가로 공급과잉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단점보다는 장점이 훨씬 더 많다고 주장했다. 현대백화점은 면세점 증가 시 쾌적한 쇼핑이 가능해지고 강북과 강남의 균형 발전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수천명의 일자리 및 수천억원의 투자도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현대백화점이 최근 특허 추가 움직임을 본 후 적극적으로 면세점 유치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 있다. 김영태 현대백화점 사장은 지난 10일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 오픈 기자간담회에서 면세점 진출 계획과 관련해 “면세점이 잘 된다고 알고 있었지만 후발 면세점이 잘 된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낸 바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현대백화점 "시내면세점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해야"
입력 2016-03-15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