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상속으로 억만장자가 된 이른바 ‘세습부자’ 비율이 세계 5위에 랭크됐다는 소식에 인터넷이 들썩이고 있다. 많은 네티즌들은 금수저의 나라라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한탄했다.
연합뉴스는 14일 미국의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1996∼2015년 20년간의 포브스 억만장자 명단을 분석한 보고서을 인용해 한국의 억만장자 중 74.1%가 상속으로 부를 일궜으며 이는 세계 67개국 가운데 5번째로 높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자산 10억 달러(1조2000억원) 이상의 부자 가운데 상속자의 비율을 조사한 것으로 한국의 경우 4명 중 3명이 상속부자인 셈이다. 이는 세계 평균인 30.4%보다 2배가 넘는 수치다.
한국보다 세습부자의 비율이 높은 나라는 쿠웨이트와 핀란드(100%), 덴마크(83.3%), 아랍에미리트(75%) 뿐이다. 중국은 2%에 불과했으며, 일본은 18.5%, 미국은 28.9%를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반면 한국의 자수성가 부자는 25.9%에 불과했다. 이 중 창업가 부자는18.5%, 오너 및 중역과 금융 종사자는 3.7%로 집계됐다.
전세계적으로 상속부자 보다 자수성가 부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점과는 상반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수성가 부자가 1996년 44.7%에서 2001년 IT 붐 덕분에 급증해 58.1%로 늘었다. 2014년에는 69.6%를 차지했다.
이처럼 한국에서 상속부자가 대부분이며 창업부자가 적은 것은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와 자본시장 미성숙,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연합뉴스는 분석했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금수저의 나라임이 입증됐다며 안타까워했다. 재벌중심의 경제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도 쏟아졌다.
“재벌들이 상속세라도 제대로 내면 좋겠다” “북한은 권력 세습, 한국은 부의 세습이니 한민족이다” “경영권을 승계하는 기업에 취업해 일하는 청년들도 불쌍하다” “개천에서 용 안 난지 오래됐다”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