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잠수함 1척이 지난주 실종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 잠수함은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사건때 동원됐던 연어급(130t급) 잠수정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 잠수함 실종은 미국 CNN 방송과 폭스뉴스가 미 정부 당국자들 말을 인용해 지난 11일(현지시간) 보도해 알려졌다. CNN은 “미국 당국자들이 지난주초 “북한 정권과 잠수함과의 교신이 끊겼다고 말했다”며 “잠수함이 사라진 뒤 북한 해군이 동해안에서 수색작업을 벌이는 상황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미군은 군사정찰 위성과 정찰용 항공기, 함정 등을 통원해 며칠째 이 일대를 은밀히 관찰하고 있지만, 바다 속에서 표류하고 있는지. 가라앉았는지에 대해 아직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있다. 일단 이 잠수함이 훈련 중 고장이 났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북한은 현재 동계훈련의 일환으로 동해안에서 이동식 미사일 발사훈련과 함께 함정과 잠수함·잠수정을 동원한 해상작전과 침투 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뉴스는 미국 국방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실종된 잠수함은 승조원 2명과 공작원 한 분대가 탑승할 수 있는 길이 21m 연어급 소형잠수함이라고 보도했다. 연어급은 통상 길이 29m 폭 2,75m 배수량은 130t급으로 잠수정으로 분류된다. 이번에 실종된 것은 110t급으로 추정돼 기존 연어급보다 더 작은 규모다.
연어급은 대남공작원 침투용으로 사용됐던 유고급 소형 잠수정을 개량한 것으로 이란에도 기술이 이전돼 ‘가다르급’ 잠수정으로 생산되고 있다. 연어급 잠수정에는 533㎜ 중어뢰 2문이 장착돼 있지만 속도가 느리고 잠수한 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도 짧다.
이에 대해 우리 군은 “자세한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북한은 지난해 8월 비무장지대(DMZ)내 목함지뢰 도발 당시 한꺼번에 50여척의 잠수함·잠수정을 이동시킨 적이 있다. 현재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용으로 생산한 신포급(2000t급) 잠수함 등 70여척의 잠수함·잠수정을 보유하고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북한 잠수정은 어디로 사라졌나
입력 2016-03-13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