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경북 상주시 공성면 한 마을회관에서 6명의 사상자를 냈던 이른바 ‘농약사이다 사건’과 흡사한 ‘농약소주 사건’이 경북 청송에서 발생했다.
농촌지역 마을회관 냉장고에 보관 중이던 소주(사이다)를 마신 불특정 다수의 주민들이 피해를 봤다는 점과 마시다 남은 소주(사이다)에서 고독성 농약 ‘메소밀’이 검출된 점이 신기하게도 닮았다.
‘농약사이다 사건’ 피의자 박모(83) 할머니가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지만 범행일체를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누가, 무슨 이유로 범행했는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청송경찰서는 10일 마을회관에서 소주를 나눠 마신 60대 주민들 중 1명이 숨지고 1명이 중태에 빠져 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감식을 의뢰한 결과, 주민들이 마시던 소주와 소주잔에서 농약 ‘메소밀’이 검출됨에 따라 누군가가 소주병에 농약을 탄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상주 농약사이다 사건에서도 무색무취의 고독성 농약 ‘메소밀’이 검출됐다.
경찰에 따르면 9일 오후 9시40분쯤 청송군 현동면의 한 마을회관에서 소주를 나눠 마신 주민들 가운데 박모(63)씨와 허모(68)씨가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들 중 박씨는 병원 치료도중 10일 오전 8시10분쯤 숨졌고, 안동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허씨도 중태다.
당시 마을회관에는 박씨와 허씨가 술을 마시던 방에 8명, 거실에 5명 등 모두 13명의 마을주민들이 함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가 난 방에서는 주민들이 화투놀이를 하면서 허씨와 허씨의 아내, 다른 여성 1명 등 3명이 김치냉장고 안에 있던 소주 한 병을 함께 나눠 마셨다.
이어 늦게 도착한 박씨가 허씨와 둘이서 문제의 두 병째 소주를 함께 마셨고 이 소주는 마시다 남은 것인지, 막 개봉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김치냉장고 안에는 소주 30여병이 보관돼 있었다.
이들은 두 병째 소주를 각각 2잔씩 나눠 마시던 중 이상증세를 느끼고 바늘로 손가락을 따는 등 스스로 치료를 하다가 병원으로 이송됐다.
박씨는 이 마을 현재 이장이고 허씨는 전 이장을 역임했다.
주민들은 마시던 소주에 이상한 냄새는 나지 않았고 육안으로 볼 때 문제가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사고가 발생한 마을은 52가구 95명의 주민들이 생활하는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주민들 간 특별한 갈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을 입구에는 CCTV가 없고 1.5㎞ 떨어진 지점에 설치돼 있다.
경찰은 “이들이 두 번째 마신 소주병에 소주가 반 정도가 남아 있었고 메소밀이 검출됨에 따라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소주에 탄 것으로 보인다”며 “당시 마을회관에 있었던 주민들과 마을회관 상시 출입자 등을 상대로 탐문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청송=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이번엔 청송 '농약소주' 사건으로 주민 1명 숨지고, 1명 중태
입력 2016-03-10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