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북한 사이버테러 징후 아직 없어‥만반의 대비”

입력 2016-03-10 09:39
금융보안원은 10일 “최근 보안업체 해킹 사고 이후 금융회사에 대한 사이버테러 여부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피해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북한의 사이버테러 대비 상황을 점검한 ‘금융권 대응현황 점검회의’에서 금융보안원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주의 경보가 발령된 지난달 11일 이후 관제요원 증원, 위협정보 실시간 공유, 전산시스템에 대한 일일점검 강화 등 사이버테러 위험에 대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부위원장은 “금융권 사이버 보안은 사고 발생시 피해 대상과 피해 규모가 여타 분야에 비해 월등히 크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고 강조하고 보안업체 해킹 등 최근 발생한 신규 보안위협에 대비한 자체 점검에 만전을 다할 것과 금융보안원을 중심으로 사이버테러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 및 침해위험에 대한 신속한 정보공유·대응체계를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북한의 테러가 아니라도 전산 보안은 금융권의 필수적인 업무가 되었다. 은행의 비대면거래 비중은 지난해 6월 88.8%를 넘어섰고, 지난해 3분기 기준 하루 7700만건의 인터넷뱅킹 거래를 통해 40조원이 거래되고 있다. 지난 2013년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테러로 인한 직간접 피해액은 8600억원에 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북한의 사이버테러 관련 동향과 금융권 전반의 대응현황에 대한 금융위의 브리핑에 이어 금융보안원(금융 통합보안관제), 금융결제원(금융공동망), 한국거래소(증권전산망), 신한은행 및 하나은행 등이 각 기관별 사이버테러 대응 현황을 보고했다. 금융위는 지난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금융권 위기경보를 격상해 대응하고 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