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입항했던 해외 선박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는 건 역시 중국 선박들이라고 미국의소리(VOA)이 10일 보도했다.
‘VOA’가 지난달 18일과 이달 9일, 선박의 입출항 기록을 보여주는 민간 웹사이트 ‘마린 트래픽’ (MarineTraffi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 항구를 도착지로 예고한 해외 선박은 중국 선박이 두 번의 조사 기간 각각 13 척과 9 척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 선박들이 가장 많이 입항을 예고한 항구는 청진 항이었다. 지난달 18일 기준으로 중국 선박들은 청진 항에 10 척, 남포 항과 라선 항에 각각 2 척과 1 척씩 입항을 예고했고, 9일을 기준으로 했을 땐 9 척 모두 청진 항을 도착지로 지정했다.
중국 선박 외에 북한을 가장 활발히 드나든 건 시에라리온 선박이었다. 시에라리온을 국적으로 한 선박들은 9일을 기준으로 10척, 지난달에는 4척이 입항을 예고했다.
지난달 18일을 기준으로 했을 땐 파나마 선박과 뉴질랜드령 섬나라인 니우에 국적이 2 척, 캄보디아와 탄자니아, 러시아, 키리바시, 싱가포르, 라이베리아의 선박이 각각 1 척씩 최종 목적지를 북한 항구로 보고했다.
이번 두 번의 조사에서 집계된 총 56 척의 선박들은 화물선이 43 척으로 가장 많았고, 유조선은 10 척이었다.
항구 별로 살펴 보면, 이들 선박들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곳은 남포항이었다.
남포 항은 지난달 18일 조사에서 모두 15 척이 입항을 예고해 해외 선박이 가장 많은 곳으로 나타났다. 중국 선박이 다수인 청진 항이 11 척, 이어 원산 항 5 척, 라선 항 2 척, 신포 항 1 척 순이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 입항 외국 선박, 중국 가장 많아”남포항 가장 많이 이용
입력 2016-03-10 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