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9일(현지시간)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 통화에서 한반도 상황을 거론하며 “중국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전략적 안전에 대한 우려와 전략적 안전이익이 훼손돼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전략적 안전이익'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를 의미한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왕 부장이 이날 오전 케리 장관과의 통화에서 “현재 조선반도(한반도) 정세는 매우 긴장돼 있고 이런 상황에서 각국은 냉정, 자제를 유지해 상호 자극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와 함께 왕 부장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의 요청으로 10∼11일 러시아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도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 입장을 표명한 만큼 이번 왕 부장의 러시아 방문 기간 사드 배치에 대한 단호한 반대 입장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데 본격 착수했다. 산케이신문은 북·중 무역관계자들을 인용, 중국 당국으로부터 이미 입항한 북한 선박이 북한으로 귀항하는 것을 10일부터 금지하겠다는 통보가 있었다고 9일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이 본토의 모든 항구에서 제재 결의 목록에 오른 북한 해운사 원양해운관리회사(OMM) 소속 선박 31척의 입항이 확인되면 조사하고 압류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또 북한과의 위안화 거래를 정지하는 한편 북한 전체 수출품에 대한 개봉 검사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르면 10일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을 담은 행정명령을 발동할 것이라고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이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발동할 행정명령은 미 의회가 통과시킨 북한제재법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제재내용을 함께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미 행정부는 오바마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즉시 고강도 제재에 착수하게 된다. 미 정부는 또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으로 지정하기 위한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미 행정부가 의회로부터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자료수집에 들어갔다”며 “미국이 북한을 자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하면 전 세계 은행들이 북한과의 금융거래를 매우 엄격하게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khmaeng@kmib.co.kr
왕이 외교부장, 케리 국무장관과 전화통화서 '사드 반대'
입력 2016-03-09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