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친박(친박근혜)계 실세 윤상현 의원의 ‘김무성 죽여라’ 막말 파문에 대해 “진상 파악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자신이 윤 의원의 당시 전화통화 대상으로 지목된 데 대해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발끈했다.
이 위원장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의원과 통화했다는 얘기도 있다’는 질문을 받자 “내가 지금 무슨 권한이 있어 통화를 하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진상을 파악해서 당의 공식기구인 윤리위원회에서 다뤄야 한다”고 했다.
이번 파문으로 공관위의 신뢰성에 문제가 불거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일단 진상 규명이 돼야 한다. 그때 조치할 수 있다”고만 답했다. 윤 의원 발언 파문에 대한 당 차원의 공식 규명 절차를 거치고 난 다음에 공천 심사 반영 여부를 검토해보겠다는 원론적 입장 표명이었다.
앞서 비박(비박근혜)계 중진인 이재오 의원은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윤 의원이) 공관위원들(중 한 사람)에게 전화했거나, 아니면 공관위원들에게 오더를 내릴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에 전화한 것”이라며 이 위원장을 통화대상으로 지목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는 20대 총선 공천 경선비율을 공관위에 위임하기로 결정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선 비율 30(당원)% 대 70(일반국민)%를 기본으로 하되 여러 여건상 불가피하게 국민 100%로 해야겠다는 것은 공관위가 할 수 있도록 위임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의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 주장이 그대로 관철된 셈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1월 국민참여 경선 비율을 기존 당원 50%·일반국민 50%에서 당원 30%·일반국민 70%로 하기로 결정하고 당헌·당규를 개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위원장이 “(지역구 공천) 후보자들 간에 합의가 안 되면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하겠다”고 하면서 파장이 불거졌다. 비박계가 “이 위원장이 대구지역 ‘진박(진실한 친박) 신인’들의 공천을 염두에 두고 공천 룰을 바꾸려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윤상현 통화대상 지목된 이한구 고성
입력 2016-03-09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