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공무원 노조가 9일 오전 행정자치부의 ‘집단행위’ 징계 방침에도 불구하고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가입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에 돌입했다.
시 공무원 노조는 투표 첫날인 이날 오전 7시 청사 1층 현관과 18층 노조사무실, 엘리베이터 앞 2곳 등 4곳에 투표소를 설치하고 오는 11일까지 3일간의 투표를 시작했다.
6급 이하 조합원 132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투표에서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 시 공무원 노조는 전국 17개 광역단체의 주력 노조 중 최초로 전공노에 가입하게 된다.
현재 서울과 대구 경기 충남 제주 등이 전공노에 가입돼 있지만 조합원 수가 많은 제1노조는 아니다. 전공노를 법외노조로 규정한 행자부는 투표가 시작되자 투표 주동자는 물론 단순 참가자도 징계·고발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각 투표소에는 이날 전공노 조합원과 행자부 직원 등이 각각 배치돼 언쟁을 벌이는 등 한 때 긴장감이 고조되기도 했으나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투표는 출근 전인 오전 7~9시와 점심시간인 낮 12~1시, 퇴근 후인 오후 6~7시에 이뤄진다. 광주시는 업무시간 외 투표 저지는 ‘부당 노동행위’에 해당된다는 판단에 따라 투표소 설치와 투표 자체를 원천봉쇄하지 않았다. 다만 시 자치행정국 직원들은 업무시간 동안의 투표자를 확인하는 등 복무점검을 했다. 긴급 조사반으로 지난 8일 파견돼 광주에 온 행자부 직원들도 투표 상황 등을 실시간 확인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호소문을 통해 “총투표를 둘러싸고 많은 갈등을 겪고 있어 공직 내부분열과 후유증이 우려된다”며 “시민들의 뜻을 헤아려 지혜롭게 판단해 주길 부탁한다”고 밝혔다. 시 공무원 노조는 첫날 투표율이 최소한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광주시에서는 2010년과 2014년에도 전공노 가입여부를 묻는 투표가 2차례 실시됐으나 투표율 저조로 무산된 바 있다. 행자부는 앞서 8일 법외노조인 전공노 가입 찬반투표를 주도한 광주시 공무원 강승환 위원장 등 노조간부 4명을 검찰에 형사고발하고 광주시에 징계를 요구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전공노가 법외노조인 만큼 투표소 설치 등은 모두 불법적 단체행동”이라며 “단순 투표 참여자도 고발·징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공무원노조, 전공노 가입여부 찬반투표 강행…행자부는 징계 방침
입력 2016-03-09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