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또 후퇴? 반격?...당원교육 행사장서 만난 김무성·최경환

입력 2016-03-08 16:32

새누리당 ‘공천 1라운드’는 김무성 대표의 완패로 싱겁게 끝났다. 당내 시선은 김 대표의 다음 행보에 쏠리고 있다. 김 대표가 공천관리위원회 결정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작전상 후퇴였는지, 무기력한 패배였는지는 조만간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 측은 8일 “공관위의 1차 발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을 들어보니 당헌당규에 위배된다고 볼 만한 내용이 없었다”고 밝혔다.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추인한 것이지 상향식 공천 원칙을 버리고 물러난 건 아니란 얘기다. 당연직 공관위원인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도 YTN라디오에 출연해 “상향식 공천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실무진들이 여유를 갖고 하다보니 그런 경우(원칙이 흔들린다는 비판)도 있는데 기본 틀은 잘 유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의원들의 반응은 달랐다. “그럴 줄 알았다”는 냉소가 쏟아졌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선거에 지는 한이 있어도 전략공천은 안 하겠다고 한 약속은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이냐. 이러니 ‘공천장에 도장 안 찍겠다’던 김 대표 말도 믿을 수가 없다”고 했다.

문제는 김 대표가 쓸 수 있는 카드가 별로 없다는 데 있다. 일단 새누리당 당헌당규엔 단수·우선추천제가 명시돼 있다. 이 조항이 전략 공천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는 진작부터 있었지만 결국 못 고쳤다. 공관위 관계자는 “공천 신청자들에 대해 각종 부정, 비리, 심지어 음주운전 기록까지도 자료가 확보돼 있는데, 특정인을 ‘잘라야겠다’고 마음먹으면 그 사유야 얼마든지 만들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공관위나 최고위원회 모두 인적 구성에서도 김 대표가 친박(친박근혜)계에 밀린다. 황진하 사무총장과 홍 제1사무부총장이 이한구 위원장을 견제하긴 역부족이란 평가가 많다. 김 대표가 이 위원장이 진두지휘하는 공관위와 붙으면 사실상 백전백패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결국 김 대표가 할 수 있는 건 스스로 밝혔듯 공천장에 도장을 안 찍는 것 밖에 없는 셈이다. 김 대표는 지난달 이 위원장이 권역별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하겠다고 하자 “공관위가 당헌당규에 위배된 결정을 하면 최고위에서 의결되더라도 공천장에 도장을 안 찍겠다”고 했었다. 공직선거법은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로 등록할 때 추천정당의 당인과 대표 직인이 찍힌 추천서를 첨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와 친박 수장인 최경환 의원이 서울 서대문갑 당원교육 행사장에서 만났다. 두 사람은 비슷한 시각에 행사장에 도착해 이성헌 예비후보를 가운데 두고 나란히 앉았다. 이 자리엔 최근 ‘현역 살생부’ 파문의 중심에 있던 정두언 의원도 참석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