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내일 긴급 사이버대책회의 개최

입력 2016-03-07 16:55

국가정보원은 7일 “국제사회 제재에 반발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 테러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8일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비태세를 점검키로 했다.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사이버 테러는 공격 근원지 추적이 어려워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데다 막대한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회의는 국정원 3차장이 주관하며 국무조정실·미래부·국방부·금융위원회 등 14개 부처 실·국장급이 참석한다. 최근 국가기반시설 인터넷망, 스마트폰 등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 등을 공유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가 열리는 것은 2013년 4월 ‘3·20 사이버 테러’ 이후 약 3년 만이다.

정부는 또 8일 해운·금융제재 등을 골자로 한 대북 독자제재 방안도 발표하기로 했다. 지난 3일 유엔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 2270호가 채택된 이후 우리 정부의 추가 제재를 본격화하겠다는 의미다.

한미연합사령부는 북핵 위협에 맞서 북한 수뇌부에 대한 선제타격을 상정한 역대 최대 규모의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시작했다. 한국군 병력만 30만여명에 달하며 미군 병력도 키리졸브 7000여명, 독수리 1만여명이 참여한다.

특히 이번 훈련은 북한 수뇌부와 핵·미사일 주요 시설에 대한 선제 타격을 목표로 한 ‘작전계획(작계) 5015’가 운용된다.

이에 맞서 북한은 실질적 최고 권력기관인 국방위 성명을 내고 ‘선제 타격’을 공언했다. 국방위는 “미국과 추종세력의 핵전쟁 도발 광기에 전면 대응하기 위해 총공세에 진입할 것”이라며 “우리의 군사적 대응조치는 더욱 선제적이고 공격적인 핵타격전으로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어 “정의의 핵선제 타격전은 우리의 최고사령부가 중대성명에서 지적한 순차대로 실행되게 되어 있다”며 “남조선작전지대안의 주요 타격 대상들을 사정권 안에 둔 공격 수단들이 실전 배비(배치)되고 강력한 핵타격 수단들이 항시적인 발사대기상태에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연일 성명을 통해 무력 대응 방침을 강조하면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비무장지대(DMZ)에서의 충돌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이 5월 당 대회를 앞두고 있는 만큼 당분간 ‘강대 강’ 대치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치솟으면서 한반도에는 극단적 군사 대치에 따른 전운이 감돌고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