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군부가 예상보다 낮은 국방예산 증가율에 이례적으로 실망감을 표출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대대적인 반부패 작업과 병력 감축에 대한 군의 불만이 쌓여있는 상태여서 주목되는 행보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 국방부 외사판공실 주임 첸리화 소장은 전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분과 토론에서 “올해 예산은 지난해에 비해 2.5% 포인트나 떨어졌는데 하락 폭이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일 올해 국방예산을 지난해보다 7.6% 증가한 9540억 위안(약 176조6998억원)으로 발표했다. 1989년 이후 거의 매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던 국방예산이 한 자릿수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증가율은 10.1%였다. 첸 소장은 “양회 개막 전 서방 언론들은 올해 국방 예산이 20%까지 오를 수 있다고 봤는데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면서 “서방의 예측은 물론 내 예상과도 큰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인줘 해군 예비역 소장은 중국국제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국방 예산 증가는 국가 경제와도 보조를 맞춰야하지만 국가 안보 수요에 비례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 군의 발전을 멈추게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중국의 국방 예산은 1.5%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내 생각에 적정 수준은 GDP의 2~2.5%”라고 강조했다. 난징군구 부사령관을 지낸 왕훙광 중장은 “올해 인민해방군이 군 현대화와 함께 남중국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방비 예산을 20%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SCMP는 소식통을 인용, 예상보다 낮은 국방예산 증가율에 대해 “시 주석이 더 이상 군에 회유책을 제시할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시 주석은 이미 군 부패의 ‘몸통’으로 불리던 쉬차이허우와 궈보슝 전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제거하면서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 또 지난해 9월에는 30만명 군 감축 선언을 한 바 있다.
하지만 군부의 불만이 쌓여 가면서 시 주석에게도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황둥 마카오국제군사학회 회장은 “시 주석은 인민해방군에 많은 임무를 부여하면서 재원은 줄이고 있다”면서 “군 간부들이 그의 말을 듣도록 하지 못한다면 역풍이 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반부패 사정, 군 병력 감축 이어 국방예산 감속에 중국 군부 이례적 실망감 표출
입력 2016-03-07 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