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커뮤니티칼리지(CC), 독일 뮌헨 시민대학처럼 서울시 전역에 531개의 네트워크형 시민대학이 설치돼 학점은행제 과정, 비학위 정규과정, 일반 교양과정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또 도서관, 자치회관 등 시민과 가까운 공공시설이 ‘우리동네 학습장(가칭)’으로 지정돼 평생학습공간으로 활용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일 이같은 내용의 ‘서울시 평생학습종합계획’을 발표하고 2019년까지 870억원을 투자해 시민대학 중심의 ‘성인 공교육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우선 시민청, 은평학습장, 대학 등 17곳에 불과했던 ‘서울시민대학’ 네트워크를 2019년 본부(1)-분교(5)-대학·기관·단체(525) 등 531개의 네트워크형 시민대학인 ‘서울자유시민대학(가칭)’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고 연간 1만2000여명이 수강할 수 있는 4000여개의 강좌가 운영된다.
시는 참여와 실천중심의 평생학습을 위해 2019년까지 마을공동체, 도시재생, 사회적경제 등 10개 분야의 시민정책가 1만명을 육성키로 했다. 민주시민으로서 보편적이고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기준인 ‘시민력’을 시민 스스로 마련하는 작업도 진행된다.
민관협치로 시 전역을 아우르는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해 시민들의 일상 속 교육기회를 대폭 확대하고, 이를 통해 강화된 시민력이 다시 참여와 실천으로 지역과 사회에 환원되는 ‘평생학습 도시 선도모델’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시는 가정, 마을, 학교 등 생활현장과 배움이 하나되는 생활밀착형 학습문화도 조성키로 했다. 공간제공, 활동비 지원 등을 통해 자발적 학습공동체를 2019년 1만개까지 확대하고 ‘1인 1학습동아리’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온·오프라인 학습지원체계도 강화된다. 가까운 공공시설을 이용한 우리동네 학습장을 2019년 1000곳으로 확대하고, 내 집 앞 학교 유휴교실도 지역수요를 반영한 평생학습 전용공간으로 활용한다.
2012년 개설된 온라인 무료 교육수강사이트인 ‘서울시평생학습포털’을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SNS)와의 연계를 확대해 2017년까지 협력학습이 가능한 집단지성 플랫폼으로 개편한다. 현재 금천구의 옛 한울중학교 부지를 리모델링해 조성하고 있는 ‘모두의 학교’는 전 세대가 함께 배우고 소통하는 서울형 평생학습 혁신모델이다. 이 학교는 2017년 문화예술 공간, 도서관, 커뮤니티공간 등을 갖춘 평생학습 종합센터로 개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같은 과정을 통해 평생학습사, 보조강사, 학습코데네이터 등 다양한 학습형 일자리 343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박원순 시장은 “위대한 서울은 위대한 시민이 만들고, 위대한 시민은 평생학습이 만든다”며 “어려운 형편에도 공부를 시키고자 했던 부모의 마음으로, 어려울수록 평생학습에 더 열을 내는 독일의 지혜처럼 배움에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위대한 시민은 평생학습이 만든다'…서울시 전역에 531개 시민대학 설치
입력 2016-03-03 11:21